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삼성전자가 최신 SAS-4 표준을 지원하는 업계 최고 성능의 엔터프라이즈 서버용 SSD를 출시했다. SAS-4는 SAS-3에 비해 약 2배 향상된 22.5Gbps의 속도를 지원한다.
온라인기사 2021-04-27
넥스페리아(지사장 김영택)는 기존의 기술 및 경쟁 회사 제품 대비 훨씬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는 자사의 2세대 650V 전원 질화 갈륨(GaN) FET 소자 제품군의 대량 공급을 개시한다고 발표했다.?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가 반도체 신기술의 발견과 개발, 상용화를 가속화하는 혁신적인 플랫폼 AIx를 발표했다.AIx는 엔지니어들이 반도체 공정을 실시간 파악하고, 웨이퍼부터 개별 칩에 이르기까지 수백만 번의 측정을 거쳐 수천 개 공정 변수를 최적화한다.
아이앤씨마이크로시스템(이하 아이앤씨)은 최근 영국 박막 초전 센서 공급업체인 파이로스 센서(Pyreos Sensor)와 국내 센서 공급에 관한 제휴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PTC는 자사의 SaaS 플랫폼 ‘PTC 아틀라스(PTC Atlas)’에 신제품 2종을 추가함으로써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기능을 확대 제공한다고 밝혔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XENSIV IM67D130A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분야에서 쌓은 전문성과 하이엔드 MEMS 마이크로폰 기술을 결합한 IM67D130A는 자동차용 고성능 저잡음 MEMS 마이크로폰에 대한 요구를 충족한다.
많은 기업과 대중들의 인식이 변화하고, 이산화탄소 배출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면서, 전세계적으로 전기차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추세를 기반으로 예측된 2024년까지의 온보드 충전(OBC) 분야 예상 연평균 성장률(CAGR)은 37.6% 이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미국 환경청이 주관하는 '2021년 에너지스타상'(ENERGY STAR Award)에서 '지속가능 최우수상(Partner of the Year:Sustained Excellence Award)'을 수상했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산업용 애플리케이션과 범용 광커플러 대체를 위한 새로운 고성능 IC 시리즈로 듀얼 채널 디지털 절연기 STISO621를 출시하여 양산을 시작했다.
엔비디아가 새로운 8세대 드라이브 하이페리온(Drive Hyperion) 플랫폼을 통해 자율주행차 발전에 기여한다고 밝혔다.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엔비디아 드라이브 하이페리온을 통해 보다 지능적인 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로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다.
온라인기사 2021-04-26
로옴 주식회사는 지속 가능한 사회의 실현을 위해, 2050년까지의 로옴 그룹 '환경 비전 2050'을 발표했다. 기후 변화, 자원 순환, 자연 공생의 3가지 테마를 주축으로, 탄소 중립(CO2 실질적 배출량 zero) 및 제로 에미션을 목표로 한다.
콘티넨탈이 28일까지 열리는 상하이 모터쇼(Shanghai International Automobile Industry Exhibition)에서 ‘모빌리티. 150년간 우리의 심장을 뛰게 하다(Mobility. Our Heartbeat for 150 Years)’라는 슬로건 아래, 커넥티드 모빌리티 솔루션을 소개한다.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이 데이터 레이크 구현에 필요한 인프라와 솔루션을 함께 제공하는 ‘데이터 레이크 오퍼링’을 통해, 새롭고 복잡해진 데이터 환경에서 고객들이 데이터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안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LS일렉트릭과 ‘스마트 팩토리 사업 추진을 위한 제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온라인기사 2021-04-23
엔비디아는 볼보자동차가 자사의 차세대 자동차에 엔비디아 드라이브 오린(DRIVE Orin)을 사용해 자율주행 컴퓨터를 구동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내년에 출시될 차세대 모델 XC90을 시작으로 더 많은 소프트웨어 정의 모델 라인업을 통해 협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