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HD현대인프라코어가 군산 사업장 내 약 1만 9000평 부지에 1168억원을 투자해, 2027년 말까지 방산·초대형 발전용 엔진 생산공장과 배터리 패키징 공장을 건축하고 양산 설비를 구축한다.
온라인기사 2024-12-26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2025년 1월 1일부로 권지웅 현 전력 사업부 부사장을 신임 대표로 선임한다.?권지웅 신임 대표는 2018년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에 합류하여 한국·대만·몽골 클러스터의 IT 사업부 비즈니스 부사장을 역임한 후, 2021년부터 전력 사업부 비즈니스 부사장으로 한국 시장에서...
온라인기사 2024-12-23
LG에너지솔루션이 시스템 온 칩(SOC) 기반의 새로운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진단 솔루션의 상용화에 나선다. 저사양 하드웨어로 구동됐던 기존 BMS와 달리 고성능 SoC 컴퓨팅 성능을 활용하는 BMS 솔루션은 업계 최초다.?
GE 버노바는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동해안-수도권 HVDC 2단계 프로젝트에 합작법인 카페스(KAPES)를 통해 고압직류송전(HVDC) 시스템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GE 버노바 첨단연구센터는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에 3.4MW-140m 풍력터빈을 공급했다고 발표했다. 양 기관의 긴밀한 협력과 정부·민간 부문 간 파트너십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혁신적인 에너지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온라인기사 2024-12-22
건국대학교 이위형 교수팀이 중수소를 활용한 새로운 소재 기술을 개발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안정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온라인기사 2024-12-21
효성중공업이 한국남동발전과 ‘수소엔진발전 사업 공동 추진’ MOU를 체결하고 수소발전 시장 공략에 나선다.
ABB가 지멘스 가메사로부터 가메사 일렉트릭의 파워 일렉트로닉스 사업부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ABB는 고출력 재생에너지 전력 변환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ComEd는 미국 에너지부(DOE)와 협력하여 일리노이주 록포드에 새로운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을 설치하고 이를 기념하는 행사를 가졌다.
온라인기사 2024-12-20
힐셔는 독일 뉘른베르크에서 개최된 SPS (Smart Production Solutions) 2024에서 강력한 신규 기가비트 기술은 기존 100Mbit 산업용 이더넷보다 더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사이버 보안 메커니즘 없이는 업계 출시가 불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온라인기사 2024-12-19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 양산에 적합한 규격의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셀을 자체 개발, 제작해 세계 최고의 발전효율을 기록하며 차세대 태양전지의 최초 상용화 목표에 가까이 다가섰다.
두산에너빌리티는 테라파워와 SMR 주기기 제작성 검토 등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테라파워 초도호기 SMR 기자재의 제작 가능성 검토 및 설계 지원 용역을 수행한다.
한국산업지능화협회 문현우 팀장이 11일 서울 노보텔 호텔에서 열린 ?‘'2024 산업디지털전환 컨퍼런스(덱스콘)'에서 산업지능화 대상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온라인기사 2024-12-12
다쏘시스템은 스페인 고압 전기 시스템의 송전 시스템 운영사인 ‘레드 일렉트리카(Red El?ctrica)’가 스페인 전력망의 기술 자산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을 선택했다고 발표했다.
MOXA(모싸) 코리아가 11월 6일부터 사흘간 광주에서 열린, 글로벌 전력에너지 산업 엑스포 빅스포(BIXPO)에 참가한 이유는 분명하다. 자사가 보유한 주력 제품(전력 네트워크 솔루션)과 전시회 참가자들의 니즈가 부합하기 때문이다. 모싸코리아의 박양수 이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찐’ 고객들을 많이 만나고, ...
온라인기사 2024-12-09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엠버로드의 제조 AI 솔루션을 사용하기 쉬운 이유
[말말말] 2025년에도 이어지는 인공지능 트렌드는
[말말말] ADI가 최근 포커싱하는 분야는 바로 여기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