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태그 검색 #저전력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 이하 ST)가 무선 서브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를 통합하고 즉시 사용 가능한 블루투스 저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 모듈인 SPBTLE-1S를 출시했다.
온라인기사 2017-09-12
건물 자동화 알고리즘에 의한 환경 요인의 변화를 이해하면서 건물의 보안과 관련된 보다 많은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자 한다면 주변 환경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온라인기사 2017-07-10
선형 레귤레이터, 부스트(스텝업), 벅(스텝다운)은 대부분의 스마트 도어록에 사용되고 있는 전력장치 토폴로지다. 어떠한 토폴로지로 설계를 할 것인가? 이 선택은 왜 중요한가?
온라인기사 2017-02-23
자율주행차, 차세대 디스플레이, 어디에서나 가능한 커넥티비티는 이제 더 이상 꿈이 아니다.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는 이러한 꿈을 현실로 만들고 있으며, 2017년은 CES에서 개발자에게 영감을 주는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인 지 50주년이 되는 해다.
온라인기사 2017-01-04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의 혁신적인 스마트 모션 센서가 소셜 피트니스 사용자들의 집중도를 높인다.
TI의 저전력 블루투스 저에너지 무선 MCU를 이용한 개발에 관심이 있다면, 여기에 TI의 SimpleLink™ 블루투스 저에너지 CC2640 무선 MCU를 선택해야 하는 5가지 이유가 있다.
온라인기사 2016-11-23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최장 10년까지 배터리 교체 없이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을 쓸 수 있을 만큼 에너지 효율성이 탁월한 사물인터넷 무선 칩 S2-LP 트랜시버를 출시했다.
온라인기사 2016-11-22
중국의 사물지능통신(M2M) 시장이 주로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시장의 부상에 힘입어 2020년에 가면 10억 건 연결로 성장할 것이라는 새로운 보고서를 GSMA 인텔리전스와 중국정보통신기술원이 발표했다.
온라인기사 2016-06-30
2015년 12월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새롭게 떠오르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시장을 위한 기술 표준에 이동통신 업계가 합의했으며 3GPP가 이 표준을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지면기사 2016-05-03
이 글은 에너지 소비의 원인이 되는 요소와 그로 인한 설계 시 고려사항을 다룬다. 특히 기존 IoT 애플리케이션에서 주요 요소들을 실현하고 전체적으로 저전력 에너지 소비를 달성할 수 있는 방법을 실증한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핵심 동력은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기고] 로드 덤프 이벤트로부터 차량용 프로토타입을 보호하는 과전압 보호 회로…
[연재 기고] 강유전체 메모리,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 구현하다
[기고] O-RAN 라디오 검증하기: 실리콘부터 스마트 네트워크까지
[기고] 차량용 초음파 센서의 발전: ADAS부터 자율주행, 그리고 그 너머까…
[파워 컴퍼니] 에이치엘이엔지 김용주 대표 “클린룸 설계에서 시공까지…전력반도…
[파워 컴퍼니] 이노메스 송호진 대표 “AI와 빅데이터 활용한 IoT 기술로 …
[파워 컴퍼니] 신훈규 네이처플라워세미컨덕터 대표 “특허 기술 활용한 사업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