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LS일렉트릭과 볼보그룹코리아가 볼보그룹코리아 창원공장 내 탄소배출 절감을 위해 태양광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에너지통합관리솔루션 구축을 완료했다.
온라인기사 2025-09-23
우드맥킨지는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 가상발전소(VPP) 시장이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증가에 힘입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배터리와 전기차 등 분산자원의 활용이 늘어나면서, 미국 VPP 시장은 단순 자동화를 넘어 전력망 유연성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너지(Grinergy)가 세계적인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Endless Frontier Labs(EFL)에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오는 2025년 10월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규모의 조선·해양 산업 전문 전시회인 ‘코마린(KORMARINE) 2025’에 참가한다.
AI 버추얼 트윈 기업, 다쏘시스템은 영국의 세계적 혁신 기관인 국립복합센터(이하 NCC)가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3DEXPERIENCE Platform)을 도입하고, 이를 영국 제조연구센터(High Value Manufacturing Catapult, 이하 HVMC) 네트워크 내 다른 혁신 센터로까지 확대 적용한다고 밝혔다.
온라인기사 2025-09-22
헬러 교수는 COP30에서 탈탄소화(decarbonization)뿐만 아니라 적응(Adaptation)과 탄소 제거(Removals)가 핵심 의제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래블업 신정규 대표가 최근나주 글로벌에너지 포럼 기조 강연에서 AI 시대의 핵심 도전 과제로 전력 문제를 꼽았다. 클라우드 인프라가 초대형(하이퍼스케일)으로 확장되면서 GPU의 전력 소비 특성과 급격히 늘어난 수요가 기존 인프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온라인기사 2025-09-19
ABB가 싱가포르 최초의 FSRU(부유식 액화천연가스(LNG) 저장·재기화 설비)에 전력 및 추진 시스템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은 ABB와 한화오션 간 오랜 협력 관계에서 또 하나의 주요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온라인기사 2025-09-17
EC-AFM은 나노스케일 해상도를 제공하는 분석적 특성화 기법이다. 표면을 직접 탐침함으로써 배터리 소재와 전기화학 셀 내 성능에 대한 물질적·표면적·전기화학적 통찰을 제공한다. 주요 특성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성능과 장기적인 안정성을 좌우하는 근본적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도 가능하게 한다.
온라인기사 2025-09-16
IoT·임베디드 보안 전문기업 쿤텍(대표 방혁준)이 한국선급(KR) 및 국내 대표 선박관리 전문기업과 함께 차세대 ‘선박 사이버 복원력 통합 플랫폼(KR-CyberOne)’ 공동개발에 본격적으로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개발 협력은 점차 강화되는 국제해사기구(IMO) 및 국제선급협회(IACS)의 선박 사이버 복원력 규정 UR E
온라인기사 2025-09-09
글로벌 화학기업 바스프(BASF)가 반고체 배터리용 양극활물질(CAM)의 첫 양산 공급에 성공함으로써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향한 중요한 진전을 이뤘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바스프 배터리 소재 사업부문 합작사인 바스프 샨샨 배터리 머티리얼즈(BASF Shanshan Battery Materials Co., Ltd., 이하 BSBM), 베이징 위라이
온라인기사 2025-09-05
HD현대의 전력기기 및 에너지솔루션 계열사인 HD현대일렉트릭이 전력 계통 안정화 핵심 솔루션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와 델타 일렉트로닉스(Delta Electronics)는 기존 협력을 강화하여,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AI 프로세서에 수직 전력 공급(VPD)을 가능하게 하는 첨단 고밀도 전력 모듈을 개발한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AI 데이터센터의 탈탄소화 및 디지털화를 더욱 가속화할 것이다
온라인기사 2025-09-03
델 테크놀로지스(Dell Technologies)가 9월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벤션 센터에서 ‘델 테크놀로지스 포럼 2025’ 행사를 개최한다. ‘상상 속 가능성, 그 한계를 넘어서’를 주제로 열리는 올해 행사에는 국내외 AI 리더들이 기조 연설 및 다양한 브레이크아웃 세션을 통해 AI 및 최신 기술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 비
국내 스마트팩토리 1위 기업인 미라콤아이앤씨(대표이사 강석립)는 오는 9월 25일 ‘Miracom Solution Fair 2025(미라콤 솔루션 페어 2025, 이하 MSF 2025)’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 MSF에는 국내 스마트팩토리 전문가들이 총출동해 제조 AX에 관한 최신 트렌드와 인사이트, 성공 사례를 폭넓게 공유할 예정이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핵심 동력은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기고] 로드 덤프 이벤트로부터 차량용 프로토타입을 보호하는 과전압 보호 회로…
[연재 기고] 강유전체 메모리,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 구현하다
[기고] O-RAN 라디오 검증하기: 실리콘부터 스마트 네트워크까지
[기고] 차량용 초음파 센서의 발전: ADAS부터 자율주행, 그리고 그 너머까…
[파워 컴퍼니] 에이치엘이엔지 김용주 대표 “클린룸 설계에서 시공까지…전력반도…
[파워 컴퍼니] 이노메스 송호진 대표 “AI와 빅데이터 활용한 IoT 기술로 …
[파워 컴퍼니] 신훈규 네이처플라워세미컨덕터 대표 “특허 기술 활용한 사업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