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전력 고효율 프로세서 기술 선도 기업 ARM은 사물간인터넷(IoT) 제품의 개발과 도입을 간소화하고 앞당기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플랫폼과 무료 운영체제(OS)를 출시했다. ARM mbed IoT 디바이스 플랫폼은 개방형 표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인터넷 프로토콜, 보안 및 표준 기반의 관리 능력을 전력 및 비용 절감을 필요로 하는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단일 통합 솔루션에 구현시켰다. 이번에 출시된 플랫폼은 현재 확장을 거듭하고 있는 mbed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지원을 바탕으로 IoT 디바이스와 서비스를 위한 공통된 기본 요소들을 제공한다. 또한 개발자들이 부가 가치 및 차별화에 집중하게 함으로써 IoT의 성장을 가속화 할 것이다.
mbed IoT 디바이스 플랫폼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 mbed OS는 ARM Cortex®-M 프로세서 기반 디바이스를 위한 무료 운영체제로, 핵심적인 IoT 기본 요소를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세트에 통합하였다. 생산성을 갖춘 에너지 효율적인 IoT 디바이스 개발을 위한 보안, 통신 및 디바이스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mbed 파트너사들은 2014년 4분기부터 초기 개발이 가능하며 2015년에 첫 디바이스 생산이 시작될 전망이다. mbed 운영체제의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
기업들의 개발 비용을 절감하고 시장 진입 시기를 단축시키며 제품 혁신과 차별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개발자들에게 플랫폼은 무료로 지원되며 100여개의 제조사(OEM)들과 주요 칩 벤더들로 구성된 생태계의 지원을 받는다
개발 주기 단축을 위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가능케 해 개발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Bluetooth® Smart, 2G, 3G, LTE 및 CDMA 셀룰러 기술, Thread, 와이파이(Wi-Fi®)및 802.15.4/6LoWPAN를 비롯한 TLS/DTLS, CoAP, HTTP, MQTT, Lightweight M2M 등의 표준 규격을 지원한다
mbed 디바이스 서버 (Device Server)는 디바이스의 안전한 연결과 관리를 위한 서버 관련 기술을 제공하며 라이선스 체결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제품이다. mbed 디바이스 서버는 IoT 디바이스 사용을 위한 프로토콜과 웹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간의 연결고리를 지원한다. 이는 “리틀 데이터(Little Data)”를 제공하는 IoT 디바이스와 종합적으로 집계된 정보의 “빅 데이터(Big Data)” 분석을 활용하는 클라우드 프레임워크의 통합을 간소화한다. 개방형 표준을 기반으로 한 이 제품은 수백만 개 디바이스의 연결과 관리에 필요한 확장성을 갖췄다. mbed 디바이스 서버는 현재 구매 가능하며 주요 장점은 다음과 같다.
표준 기반 및 IoT에 최적화된 접근 방식을 통해 향상된 효율성, 보안 및 관리 용이성을 제공한다
IoT 기능을 기존 클라우드 서비스에 통합하는 데 수반되는 복잡성을 줄여준다
동일한 기술 기반을 활용,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위한 이중 기반 시설의 필요성을 제거해 디바이스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관리를 통합한다
개방형 표준 및 광범위하게 구축된 ARM 파트너 생태계를 통해 대규모의 단일 디바이스 시장으로의 접근을 가능케 한다
mbed.org는 약 7만명의 mbed 개발자들로 구성된 커뮤니티 웹사이트로서, 하드웨어 개발 킷,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저장소, 레퍼런스 어플리케이션, 문서 및 웹 기반 개발 툴을 포함한 포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며 아래와 같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작년 한 해 동안 약 100만개의 프로젝트 진행,
30개 이상의 공식 게시판 개설
8년간 IoT 서버 및 6LowPan 제품 관련 제품화
24/7 클라우드 서비스 관련 5년 이상의 운용
9,000개 이상의 프로젝트 발표
사이먼 시거스(Siomon Segars) ARM CEO는 “IoT 제품 및 서비스를 사용하려면 조직 전체를 아우르는 다양한 기술과 기량이 요구된다”며 “ARM mbed는 흔한 기반시설 기술이 아니라,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ARM 생태계 파트너사들이 그들의 제품을 차별화하는 데 집중할 수 있도록 필수적인 기본요소들을 제공한다. 이는 결국 글로벌 경제의 전 분야에 걸쳐 IoT의 성장과 도입을 가속화 할 것”이라고 밝혔다.
mbed 파트너 생태계는 광범위한 반도체, 모듈, OEM, 시스템 통합, 클라우드 및 통신사 파트너 등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확장됐다. IoT 디바이스 플랫폼 출시를 함께한 파트너사로는 아트멜(Atmel), CSR, 에릭슨(Ericsson), 파넬(Farnell), 프리스케일(Freescale), IBM, KDDI, 마벨(Marvell), 메가칩스(MegaChips), 멀티테크(MultiTech), 노르딕세미컨덕터(Nordic Semiconductor), NXP, 르네사스(Renesas), 씨컨트롤(SeeControl), 셈텍(Semtech), 실리콘랩스(Sillicon Labs), 스트림테크놀로지(Stream Technologies), ST, 텔레노어 코넥션(Telenor Connecxion), 텔레포니카(Telefonica), 썬더소프트(Thundersoft), 유블락스(u-blox), wot.io와 지브라(Zebra)가 있다.
크리스티안 플라우트너(Krisztian Flautner) ARM IoT 사업본부장은 “오늘날 대부분의 IoT 디바이스는 분리돼 있었던 탓에, 디바이스와 서로 다른 다수의 클라우드 서비스간 상호 운용이 가능한 진정한 의미의 상호 연결된 세계를 구현하는 것은 불가능했다”며 “ARM의 mbed IoT 디바이스 플랫폼은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공통의 통신 및 관리 도구를 제공해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ARM은 mbed를 통해 새롭게 탄생한 IoT 디바이스와 클라우드 서비스가 대규모로 도입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mbed 플랫폼 개발의 비전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는 ‘IoT의 시작, Thread: 비행기, 기차 그리고… 자전거. 무엇이 이들을 특별하게 만드는가? (Putting the I in IoT, Thread: What makes it different?, Planes, Trains and … Bikes: Transportation for the Internet of Things)’ 블로그 포스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파트너사 인용문
아트멜(Atmel): 스티브 팬코스트(Steve Pancoast) 아트멜(Atmel) 소프트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부문 부사장은 “아트멜은 ARM mbed 플랫폼 도입으로 더 많은 IoT 제품 및 서비스의 시장 출시에 용이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개발 도구의 폭을 넓혔다”며 “mbed 플랫폼은 제조업체부터 전문 디자이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친 IoT 개발자를 위한 아트멜의 생태계를 확장, 디바이스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OS 솔루션을 제공한다. 우리는 ARM mbed 플랫폼과 함께 Thread 규격을 따르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IoT 디바이스간의 상호운용을 지원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에릭슨(Ericsson): 에릭 에쿠덴(Eric Ekudden) 에릭슨(Ericsson) 부사장 겸 기술 전략 총괄은 “에릭슨은 무선 네트워크 분야의 선두주자로서 IoT를 통합하고 가속화하려는 취지를 환영한다”며 “ARM mbed 플랫폼은 연결사회를 구현하고자 하는 에릭슨의 비전에 부합하는 수백만, 아니면 적어도 수천 개의 커넥티드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다”고 밝혔다.
프리스케일(Freescale): 제프 리스(Geoff Lees) 프리스케일(Freescale) 수석부사장 겸 MCU 사업부문장은 “프리스케일과 ARM은 IoT의 도입을 가속화하려는 공동의 목표를 갖고 있으며 프리스케일은 이미 업계 내 가장 풍부한 mbed 지원 MCU 포트폴리오를 제공하고 있다”며 “ARM의 새로운 mbed IoT 디바이스 플랫폼은 이러한 공동의 목표를 상징하며, 시장 진입 시기를 단축하고자 하는 고객들을 위해 프리스케일 MCU 기반의 mbed 관련 개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마벨(Marvell): 필립 폴리디스(Philip Poulidis) 마벨 수석 부사장 겸 모바일 및 IoT 사업 부문장은“MW300 와이파이 마이크로컨트롤러(MW300 Wi-Fi microcontroller), MB300 블루투스 마이크로컨트롤러(the MB300 Bluetooth microcontroller)및 MZ100 지그비 마이크로컨트롤러(MZ100 ZigBee microcontroller)를 포함한 마벨 E-Z 커넥트 무선 마이크로컨트롤러 (The Marvell E-Z Connect Wireless Microcontroller) 시스템온칩(System-on-Chip, SoC) 제품군은 업계 내 가장 완벽한 IoT용 실리콘 플랫폼 솔루션 제품 라인을 자랑한다”며 “우리는 웨어러블, 홈 오토메이션 및 보안, 퍼스널 헬스케어, 자동차, 조명 및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가장 광범위한 IoT 어플리케이션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무선 임베디드 솔루션 개발 분야에서 지난 10년 간 쌓은 리더십을 기반으로 한 마벨의 업계 선도적인 실리콘 솔루션은 OEM사들이 신속하게 새롭고 혁신적인 IoT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할 수 있도록 ARM의 mbed 플랫폼을 지원하게 됐다”고 밝혔다.
씨컨트롤(SeeControl): 브라이언 케스터(Bryan Kester) 씨컨트롤 CEO는 “ARM mbed 플랫폼은 IoT를 정의하는 다양한 기술과 선택을 간소화하는 데 필수적”이라며 “ARM mbed 플랫폼은 과도한 전력 사용 없이 많은 양의 컴퓨팅을 가능케 하는 초연결 에지 네트워크(Hyperconnected edge network)를 구현하는 탁월한 IoT 보안 도구, 프로토콜 및 관련 기술들의 통합체를 제공한다. 기업 고객과 개발자 커뮤니티는 씨컨트롤과 ARM mbed 스위트(suite)로 그 어느 때보다 더 높은 생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했다.
Wot.io: 앨런 프로디스(Allen Proithis) wot.io 회장 겸 창립자는 “우리는 업계 내 가장 정교한 마이크로프로세싱 기술을 보유한 ARM과 파트너십을 맺게 되어 영광으로 생각한다”며 “ARM의 mbed 기술을 wot.io의 연결 디바이스 플랫폼을 위한 데이터 서비스 익스체인지와 통합함으로써 wot.io는 비즈니스 투자수익률(Return on Investment, ROI)을 달성하기 위한 데이터의 연결, 향상 및 상품화를 위해 누구든지 IoT 솔루션을 사용하게 하는 비전 달성에 더욱 가까이 다가가게 됐다”고 밝혔다.
지브라(Zebra): 필 저스코비치(Phil Gerkskovich) 지브라 신성장플랫폼 부문 수석 부사장은 “ARM mbed 플랫폼은 표준 기반의 IoT 솔루션 이용을 가속화하고 장려하는 데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하며 이는 지브라의 미래를 위한 목표와도 완벽하게 들어맞는다”며 “mbed IoT 디바이스 플랫폼과 결합된 지브라의 자타르 IoT 플랫폼(Zatar IoT Platform)은 효율적이고 안전한 통신 기술을 이용한 디바이스와 인터넷 간의 연결 방식을 새롭게 정의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