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기반 서버를 위한 데이터센터 소프트웨어 개발 가속화
저전력 고효율 프로세서 기술 선도 기업 ARM은 협력사들과의 협업을 통해 개발한 ARMv8-A 기반 서버용 플랫폼 표준인 ‘서버 베이스 시스템 아키텍처 (SBSA, Server Base System Architecture)’를 발표했다. SBSA는 캐노니컬(Canonical), 시트릭스(Citrix), 리나로(Linaro),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레드햇(Red Hat), SUSE 등의 소프트웨어 기업 및 델(DELL)과 HP를 포함한 제조사(OEM), 그리고 다양한 반도체 협력사들의 지지와 지원 하에 공동으로 개발되었다. SBSA 표준은 데이터센터 기술에 혁신적인 ARM 아키텍처 기반 솔루션이 적용될 수 있는 근간의 플랫폼을 제공하며, 소프트웨어 개발을 가속화하고 ARM 기반 플랫폼 간의 호환성을 가능케 한다. 또한 본 표준은 주요 시스템 구성요소들에 대해 통일된 방향성을 제공함으로써, ARM의 협력사들은 차별화되고 부가가치가 가능한 솔루션을 개발하는데 집중할 수 있게 되어, 혁신과 다양한 선택이 가능한 시장이 되도록 한다.
데이터센터는 구축과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는 표준 기반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필요로 한다. SBSA 표준은 광범위한 표준화 작업의 시작점이며, 이는 반도체에서 소프트웨어, 사용자까지 이르는 전체 개발자 생태계의 개발 및 구축 프로세스를 간소화한다. 이 선도적인 표준화는 나아가 운영체제 회사(OSV)와 개별 소프트웨어 회사(ISV)들이 ARM 서버 커뮤니티 전체를 아우르는 다양한 범위의 디바이스와 플랫폼을 하나의 공통의 방법으로 기술 개발을 가능케 하여, ARM 기반 서버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가속화한다.
마이크 뮬러(Mike Muller) ARM CTO 는 “ARM의 데이터센터 생태계가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이번 발표는 협력사들이 개발과정을 간소화하고 시장 출시시기를 줄일 수 있는 표준화 방법을 제공하여, 혁신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준다”라며, “우리는 ARM 아키텍처의 주인이자 관리자로서, 운영체제(OS),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ARM 기반 서버 상에서 빠르게 개발 및 적용 할 수 있게 하는 표준 구축을 위해 업계의 리더들과 협업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프랭크 프란코브스키 (Frank Frankovsky)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 재단(Open Compute Project Foundation) 회장은 “ARM의 표준화 구축 노력의 성과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하며 이는 오픈 컴퓨트 프로젝트의 원칙과도 상응한다”며, “이러한 표준화 노력은 소비자들과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필요로 하는 지속성과 예측 가능성을 제공하는 한편, 장치 인식 (device enumeration)및 부팅 프로세스와 같은 불필요한 부분을 없애 ARM 기술의 혁신 속도에 박차를 가함으로써 데이터센터에 ARM 기술 도입을 가속화 할 것”이라고 말했다.
휴대기기와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들을 촉진시키고 있으며, 데이터센터 관리자들은 이러한 새로운 작업의 변화하는 특성에 적응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효율적으로 만족시키기 위해, 업계에서는 소프트웨어 호환성과 표준화를 핵심 고려 요소로 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솔루션을 원하고 있다.
AMD
린데르트 반 도른 (Leendert van Doorn) AMD 부사장은 “산업 표준을 도입하고 기본 플랫폼을 정의하는 것은 ARM 기반 64비트 서버 생태계를 구축하고 활성화시키는 데 필수적”이라며, “AMD는 ARM의 SBSA 요구사항 구축에 협업한 것을 기쁘게 생각하며, 이번 SBSA 규격의 공개는 ARM 기반 64비트 서버의 도입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어플라이드마이크로(AppliedMicro)
파라미쉬 고피 (Paramesh Gopi) 어플라이드마이크로(AppliedMicro) CEO는 “SBSA 규격에 맞는 첫 제품인 엑스 진 (X-Gene) 출시를 비롯, 어플라이드마이크로는 ARM 서버 표준화 구축 노력에 전적인 지지를 보낸다”며, “운영체제 회사들 (OSV), 서버 OEM들과 반도체 협력사들이 함께 협업하도록 하여, 완전히 상호운영이 가능한 표준 플랫폼을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혁신을 장려하여 강력한 서버 솔루션 구축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브로드컴(Broadcom)
론 얀코브(Ron Jankov) 브로드컴 프로세서 및 무선 인프라스트럭처 부문 총괄 겸 전무는 “브로드컴은 표준화의 가치와 소프트웨어 상호운용 지원이 64비트 ARM 아키텍처에 장기적인 성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다”며, “ARM 64비트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브로드컴은 서버급 중앙처리장치(CPU), 최고 수준의 하드웨어 및 데이터센터 네트워킹 전문 기술을 통해 64비트 ARM 생태계의 선도주자로서의 위치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캐노니컬(Canonical)
크리스찬 레이스(Christian Reis) 캐노니컬 하이퍼스케일 컴퓨팅 부문 상무는 “ARM 기반 서버는 데이터센터 생태계를 역동적이고 혁신적인 시장으로 변화시킬 가능성을 갖고 있다”며, “SBSA에 대한 노력은 시스템 도입 시 하나의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으로써 기술도입의 장애물을 제거하며, 이로써 어떤 개발자 및 회사라도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캐노니컬은 이러한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하며, 우리 캐노니컬의 우분투(Ubuntu) 서버 제품군에도 SBSA 호환성을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캐비움(Cavium)
고팔 헷지(Gopal Hegde) 캐비움 데이터센터 프로세서 그룹 총괄 겸 상무는 “캐비움의 프로젝트 썬더(Project Thunder)는 클라우드와 데이터센터용 멀티코어 ARMv8 64비트 서버급 프로세서 제품군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며, “ARM과 ARM 생태계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썬더 제품은 여러 관리 및 편성 표준들을 호환하는 다양한 작업에 최적화된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제공할 것이다. 우리는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환경에 ARM 아키텍처 도입을 가속시킬 서버 플랫폼 표준을 이끄는 ARM의 리더십에 갈채를 보낸다”고 말했다.
시트릭스(Citrix)
아메드 살람(Ahmed Salam) 시트릭스 시스템 하드웨어, 보안, 이머징 솔루션 및 IP부문 CTO는 “시트릭스는 모바일 워크스타일을 가능하게 하는 클라우드 전문 기업으로, 개방형 표준 지원에 헌신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SBSA 논의에 참여했다. 우리는 이번 표준화 규격 공개가 업계 발전을 위한 긍정적인 움직임으로 생각한다”며, “SBSA는 ARM 기반 서버 생태계를 조성하며 앞으로의 기반이 될 것이다. 시트릭스는 SBSA와 관련된 논의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업계, 협력사, 고객들에게 이득이 되도록 지속적인 기여를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델(DELL)
브라이언 페인 (Brian Payne) 서버 솔루션 부문 전무 이사는 “개방형 및 표준 기반 기술들은 지난 30년동안 델의 경영철학의 기반이 되었다”며, “다양한 ARMv8 서버 시스템온칩(System-on-Chip)이 상용화됨에 따라 고객들에게 효율적으로 새로운 혁신과 선택권을 제공하는 역량이 중요해졌다. 명확한 표준 기반의 플랫폼은 새로운 수준의 서버를 도입하려는 우리 고객들에게 운영체제 이동성과 보다 친숙한 사용자경험을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는 ARM 생태계가 이처럼 중요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룬 성과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HP
동 웨이(Dong Wei) HP 연구위원은 "부가가치 기능들을 지닌 확장 가능한 플랫폼의 장점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따라서 HP는 ARM의 표준화 구축 노력을 초기 단계부터 지지해왔다”며, “SBSA 규격을 통해 우리는 ARM 기반 솔루션 도입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른 미래 ARM 아키텍처 기반 HP 제품군의 출시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리나로(Linaro)
데이비드 러슬링 (David Rusling) 리나로 CTO는 “ARM 아키텍처와 독특한 비즈니스 모델은 다수의 ARM 협력사들의 빠른 혁신을 가능케 한다. 현재 많은 회사들이 차세대 저전력 데이터센터를 위해 혁신적이고 차별화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며, “ARM의 SBSA는 이러한 솔루션의 공통 부분을 표준화하기 위한 기술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소로, 우리는 ARM 및 ARM 협력사들과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ARMv8 기반 서버 제품 도입을 가속화하는 데 함께하기를 고대한다”고 말했다.
레드햇(Red Hat)
존 마스터스 (Jon Masters) 레드햇 수석 ARM 아키텍트는 “ARMv8과 같은 최신 컴퓨터 아키텍처의 성공적인 도입과 적용에 있어 표준화가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ARM SBSA 발표는 뒷받침하고 있다”며, “리나로 엔터프라이즈 그룹(LEG)에 가입 및 참여하여 레드햇이 표준화를 지원한 것, 오픈 소스 서버 기술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기업으로서 우리가 보유한 독보적인 통찰력, 그리고 ARM 주도의 협력적인 생태계 구축 노력이 하이퍼스케일에서 ARM 아키텍처 지원을 가능케 하는 공통 플랫폼을 만들어내는데 공헌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고 말했다.
SUSE
랄프 플락사 (Ralf Flaxa) SUSE 엔지니어링 부문 상무는 “SUSE는 ARM 프로세서에 관련된 개발활동을 수년간 지원 및 지속해왔으며, ARM 프로세서가 클라우드, 빅데이터 및 고성능 컴퓨팅 어플리케이션에 도입되기를 기대한다”며, “SUSE는 SBSA 표준화 노력을 환영하며 서버 플랫폼 표준화 구축에 일조할 수 있는 점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본 시장이 중요해지면서, 해당 표준은 기업 생태계의 성공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소가 될 것이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플랫폼을 구축하는 데 함께 협업할 것을 고대한다”고 말했다.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 Texas Instruments)
빌 밀스 (Bill Mills) TI 오픈 소스 부문 수석 기술연구원은 “디지털 신호처리기, ARM Cortex 프로세서, 패킷 처리, 보안 가속 및 이더넷 전환 기술을 결합한 독보적인 서버급 키스톤(KeyStone) SoC을 개발한 초기 혁신기업으로서, TI는 SBSA 표준을 일궈낸 ARM 생태계의 협업에 지지를 보낸다”며, “SBSA와 같은 표준화는 우리의 이기종 연산 장치들이 고성능 컴퓨팅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혁신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소프트웨어를 간소화할 수 있게 한다”고 덧붙였다.
SBSA 표준 문서는 ARM 홈페이지(http://infocenter.arm.com/help/index.jsp) 에서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