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가 최신 eSSD(기업용 SSD)인 PE8000 시리즈를 공개했다.
PE8000 시리즈는 기업용 데이터센터 고객사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라인업이다.
SK하이닉스는 낸드플래시 외에도 자체 개발한 컨트롤러(Controller)와 펌웨어(Firmware) 기술을 바탕으로 경쟁력 강화에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바야흐로 TB급 고용량 메모리 시대, 기업용 SSD 시장을 사로잡을 PE8000 시리즈 제품들을 만나봤다.
96단 TLC 4D 낸드 기반 PE8010·PE8030
PE8010과 PE8030은 SK하이닉스의 96단 TLC(Triple Level Cell) 4D 낸드플래시를 활용한 SSD로, SK하이닉스 자체 개발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한 최신 전송 규격인 PCle Gen4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첫 NVMe SSD 제품이다. 읽기 전용(Read Intensive) 제품인 PE8010과 읽기/쓰기 혼용(Mixed Use) 제품인 PE8030 모두 1~8TB(Terabyte)의 용량을 지원한다.
폼 팩터(Form Factor)는 U.2/U.3 호환이 가능하다. 또한, PCIe Gen4 지원으로 두 제품의 연속 읽기/쓰기는 최대 6,500MB/s / 3,700MB/s, 랜덤 읽기/쓰기는 최대 1,100K/320K IOPs로 현존하는 저전력(<17W) 기업용 Gen4 NVMe 기준 최고 성능을 자랑한다. 동제품은 현재 고객 샘플링 중이다. 2019년에 출시한 SK하이닉스의 이전 솔루션 대비 PE8010은 연속 읽기 2배, 랜덤 쓰기 4.5배의 개선을 보이며 전력소모량은 최고 17W이다.
세계 최초 개발한 128단 1Tb TLC 4D 낸드 활용
PE8111은 SK하이닉스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한 128단 1Tb(Terabit) TLC 4D 낸드플래시를 활용한 고용량 솔루션 제품이다. 현재 신규 폼 팩터인 E1.L(EDSFF 1U Long)을 기반으로 16TB 제품을 개발 중이며, 향후 32TB 제품 개발도 계획 중이다. OCP(Open Compute Project) 스토리지 규격을 채택한 PE8111은 연속 읽기/쓰기 성능은 최대 3,400MB/s / 3,000MB/s, 랜덤 읽기/쓰기 성능은 최대 700K / 100K IOPs까지 지원 가능하다.
특히 128단 1Tb 4D 낸드를 활용함으로써 512Gb 낸드 기반 솔루션 대비 절반의 낸드 다이(Die)로 동일한 용량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면적의 칩에 구현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이 2배 늘어나면서 기존 제품 대비 성능, 전력 소모, 가격 등의 측면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