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엘지, Fraunhofer과 공동 개발중인 산업용 5G 선보여
  • 2018-04-26
  • 박종배 기자, jbpark@elec4.co.kr

새로운 5G 기반 생산 기술은 운영 효율성을 높일 것
5G의 초저지연성이 산업용 적용 사례를 실현 가능하게 할 것


Ericsson(NASDAQ: ERIC)과 Fraunhofer 생산 기술 연구소는 산업용 5G 적용 사례를 검증하고 개발하기 위해 협력해 왔다. MTU Aero Engines에 제공할 제트 엔진 부품개발을 위한 5G 적용 사례가 첫 번째 사례로 현재 검증이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내용이 이번 주(4월 23~27일) 독일 하노버 페어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블리스크(blisk, BLade Integrated diSK)는 디스크와 블레이드가 통합된 형태로, 제트 엔진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첨단 부품이다. 견고한 금속 물질을 가공하여 만들어지며 고도의 정밀성과 표면 무결성을 요구한다.

비용 절감, 품질 개선 및 생산 유연성 등 제조업에 5G를 적용함으로써 기대할 수 있는 여러 효과들이 있다. 초저지연성과 초광대역을 통해 실시간으로 기계를 제어하고 생산 비용을 절감하고 품질 개선이 가능해 진다.

최신 Ericsson Consumer 및 Industry Lab Business Value 리포트에 따르면, 5G가 적용된 블리스크 사례만으로도 단일 공장에서 약 2천7백만유로를, 전 세계 사업장 적용 시 최대 연간 3억6천만유로를 절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속 가능성의 측면에서도 블리스크의 생산과 제트 엔진 가동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을 전 세계적으로 매년 1천600만톤까지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5G가 무선 기술인 점을 고려할 때 유선 연결이 어려운 센서에도 적용이 가능해 지며 생산 라인이 단 몇 초 만에 새로운 과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블리스크 파일럿 프로젝트는 1천분의 1초 단위의 초저지연성과 같은 5G의 기술적 특성이 신속하고 정밀한 조작을 요하는 공정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3.5GHz 기반의 Ericsson의 5G 트라이얼 시스템은 생산 중인 블리스크에 직접 장착된 가속 센서에 연결된다. 진동 스펙트럼은 5G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증 시스템에 전송된다. 초저지연성으로 인해 공작 도구의 위치와 진동의 상관 관계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제작 공정을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관련 영상을 통해 블리스크 생산 사용 사례 및 사업 가치에 대해 알아보고, 5G for manufacturing 웹페이지에 있는 5G의 다른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관련 Consumer and Industry Lab Business Value 리포트와 시험 사례 웹 페이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5G   #네트워크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