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스턴디지털, 업계 최대 용량 14TB HDD 공개
  • 2018-04-23
  • 박종배 기자, jbpark@elec4.co.kr

헬륨 기술 개발 및 상용화, 2천 7백만 개 이상의 제품 출하

스토리지 솔루션 기업 웨스턴디지털이 기존 자기 기록(Conventional Magnetic Recording, 이하 CMR) 방식 HDD 중 업계 최대 용량인 14TB ‘울트라스타(Ultrastar) DC HC530’ HDD 신제품을 공개했다. 이번 신제품을 통해 클라우드 및 엔터프라이즈 고객들은 총소유비용(TCO)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다. 
 
빅데이터의 증가로 인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워크로드 전반에서 보다 큰 용량을 필요로 하고 있다. 웨스턴디지털의 5세대 헬리오씰(HelioSeal) 기술이 적용된 울트라스타 DC HC530은 비용 효율성이 높은 인프라 구축을 위해 스토리지 밀도, 테라바이트 당 전력소비량(watt/TB) 및 운영비용($/TB) 등의 지표를 중시하는 퍼블릭 및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됐다.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머신러닝, 고품질 콘텐츠 및 패스트 데이터(fast data) 애플리케이션의 발달로 데이터가 폭증하면서 하이퍼스케일(hyperscale)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와 기업들은 페타바이트(petabyte) 규모의 거대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구축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율적인 비용으로 스케일업(scale-up) 혹은 스케일아웃(scale-out) 할 수 있는 능력은 비즈니스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는 비단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의 문제만이 아니라 의료, 과학, 농업 및 기타 분야에서 혁신, 새로운 발견 및 독창적인 인사이트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이나 머신러닝을 활용하는 기관들에도 해당된다.
 
업계 최초 14TB 용량의 기와식 자기 기록(SMR, Shingled Magnetic Recording) 방식 드라이브 출시에 이어 웨스턴디지털이 선보이는 신제품 울트라스타 DC HC530은 CMR 기반 14TB 제품으로 드라이브 교체가 손쉬운 드롭 인(drop-in) 방식을 지원해 엔터프라이즈 및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의 랜덤 쓰기 워크로드에 적합하다.

또한, HDD 내부에 헬륨을 충전하는 방식으로 2014년부터 최대 용량, 독보적인 전력효율 및 장기적 데이터센터 신뢰성을 제공해온 웨스턴디지털의 고유 특허 기술 헬리오씰(HelioSeal) 공정이 적용됐다. 이 기술을 통해 성능 저하 없이 저전력 설계를 구현해 TCO를 절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SAS 및 SATA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중국의 인터넷 서비스 기업 텐센트(Tencent)는 ‘텐센트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웨스턴디지털의 헬리오씰 기반 HDD를 사용하고 있다. 황빙치(Huang Bing Qi) 텐센트 클라우드 디렉터는 “데이터 볼륨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고객들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워크로드 및 결과물을 위한 빠른 속도와 민첩성, 그리고 지속성을 요구하고 있다”며, “웨스턴디지털의 헬륨 충전 HDD는 비용 효율 및 신뢰성 측면에서 이러한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저전력과 대용량의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텐센트는 이전부터 헬리오씰 기반의 12TB HDD를 이용해오고 있으며, 이번 울트라스타 DC HC530 14TB 신제품 승인 절차에도 기꺼이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반도체   #부품   #소프트웨어   #스토리지   #신제품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