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한국에너지공대는 세계적 물리학자인 리차드 뮬러 교수가 공동 창립한 미국의 원자력 에너지 스타트업인 Deep Fission Inc.와 지난 7일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한국과 국제 에너지 시장에서 혁신적인 원자력 기술을 발전시키고 구현하려는 KENTECH의 의지의 일환이다.
온라인기사 2025-01-13
SK온이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 성과를 잇따라 발표했다. 국내 유수 대학 기관과 함께 진행한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과제의 결과물이 논문으로 작성돼 최근 국제 학술지에 연이어 게재되었다.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국내외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대한전선은 글로벌 인프라 그룹인 발포어 비티가 영국 동부에서 추진 중인 노후 전력망 교체 프로젝트에 400kV급 전력망을 공급한다.
온라인기사 2025-01-10
LG에너지솔루션이 앱테라 모터스, 국내 배터리 팩 제조사 ‘시티엔에스(CTNS)’와 3자 업무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올해부터 2031년까지 7년 간 앱테라 모터스에 원통형 배터리(2170) 4.4GWh를 공급한다.
삼성SDI가 CES2025에서 원통형 배터리, 전기차용 각형 배터리, 전력용 ESS 솔루션인 SBB 1.5 제품 등 배터리 제품과 기술을 선보였다.
두산스코다파워는 태국 라용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파타야 인근 라용의 새 복합화력발전소에 20MW급 증기터빈과 발전기, 콘덴서 및 부속 장비를 공급했다.
넥스페리아(Nexperia)가 ?NEH71x0 전력 관리 IC(PMIC) 제품군을 출시하며 에너지 하베스팅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 우수한 성능, 원가 절감 및 다기능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 고급 PMIC 라인은 저전력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지속 가능한 설계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해준다.
온라인기사 2025-01-09
로크웰 오토메이션(Rockwell Automation)은 데이터센터 운영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어니언소프트웨어(Onion Software), 시스코(Cisco), 마키나락스(MakinaRocks)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산업용 인공지능(Industrial AI)과 자동화 기술의 융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데이터센터의 디지털 전환이...
한국전력이 1월 9일(목) 한전 제주본부에서 ‘DSO-MD 제주센터’를 개소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DSO-MD 제주센터는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분산에너지사업자가 보다 계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입찰 가능용량 등 정보를 제공해 배전망 내 전력거래를 원활하게...
CIGS 태양전지(Cu(In,Ga)Se₂)는 높은 효율, 유연한 설계,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통해 차세대 태양광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CIGS 태양전지의 셀 및 모듈 제조 기술을 중심으로,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 동향과 BIPV와 같은 실용적 응용 분야에서의 가능성과 미래를 다룬다.
온라인기사 2025-01-07
미국의 데이터 센터 전력수요는 2028년까지 5년간 연평균 13~27%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전력기기 및 전선, 소형모듈원전(SMR) 제조업체들의 미국향 매출도 지속 확대가 예상된다.
온라인기사 2025-01-03
비츠로셀은 이탈리아 가스 및 수도미터 제조업체 피에트로 피오렌티니(Pietro Fiorentini SPA, 이하 피에트로)와 167억원(1100만유로) 규모의 리튬일차전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계약 기간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다.
온라인기사 2025-01-02
KAIST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박람회인 ‘국제전자제품박람회(이하 CES 2025)에서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 또한, KAIST 창업기업인 ㈜버넥트, 스탠다드에너지㈜, ㈜에이투어스, (주)파네시아는 2025 CES 이노베이션 어워드(Innovation Award)를 수상했다.
커먼웰스 퓨전 시스템(CFS)은 버지니아주 체스터필드 카운티의 제임스 리버 산업 공원에 세계 최초의 그리드 규모 상용 핵융합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
온라인기사 2024-12-27
“ 최근 몇 년간 AI가 기술 산업의 화두로 주목받아 왔으며, 이러한 흐름은 2025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5년에는 산업별로 특화된 분석 모델 활용, 규제 문제, 환경적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AI 관련 이슈가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엠버로드의 제조 AI 솔루션을 사용하기 쉬운 이유
[말말말] 2025년에도 이어지는 인공지능 트렌드는
[말말말] ADI가 최근 포커싱하는 분야는 바로 여기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