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게임방해꾼 잡아내는 사이버 보안관 기술개발
  • 2014-10-13
  • 편집부

- 대규모 게임 데이터 분석 및 게임 인공지능 핵심원천기술 확보
- 악성 게임봇 검출에 활용시 게임산업 보호 효과탁월
- 국제 기술경연대회 게임봇 판정 부문 1위 달성, 기술력 확인
- 핵심기술 응용한 게임봇 통합관리 솔루션 상용화 추진 

온라인 상에서 대규모 사용자들이 모여 게임을 하다보면 실제 사용자가 아닌 '게임봇(Gamebot)' 들이 판치는 바람에 게임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많다. 게임업체 또한 손실이 큰데 국내 연구진이 이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13일, 동시 접속자가 3천명 이상되는 대규모 온라인 게임대상으로 악성 유저인 '게임봇' 을 자동으로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핵심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게임봇' 이란 자동화된 사용자를 의미한다. 즉 실제 게임에 참가하지 않고 자동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24시간 돌려 마치 사람이 하는 것처럼 대신 게임에 참여하는 일종의 악성 유저인 셈이다. 따라서 이들은 게임에는 관심이 없다. 다만, 게임에 참가하여 게이머들의 돈, 아이템, 경험치 등 재화를 수집 하는데만 관심이 있는 것이다. 이들은 이렇게 모은 재화를 유저 대상으로 돈으로 팔아 게임시장을 흐리고 있다.



ETRI는 이런데 착안을 해 인공지능 기술과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게임봇을 잡아내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핵심기술은 ▲빅데이터 분석기술 ▲사용자 행동 패턴 인식기술 ▲실시간 사용자 검출기술 ▲실시간 사용자 모니터링 기술 등이 사용되었다. 그동안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에서는 GM(Game Master)이라 불리는 게임 서비스 관리자를 통해 게임봇에 일일이 대처하여 왔다.

하지만, 대규모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제한된 환경에서 게임봇을 검출해야 하는 온라인 게임의 특성상, 매번 수작업으로 대응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ETRI에서 개발된 게임봇 기술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게임 데이터를 분석, 게임봇을 탐지하고 추적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업체들에게는 단비와 같은 기술이라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따라서 ETRI는 향후 게임업체나 게임 서비스관련 보안업체들에 기술이전을 한다는 계획이다.

업체들은 SW형태로 기술을 이전받아 운영관리 시스템에 붙이면 된다. 게임봇 자동 탐지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악성 게임봇의 검출이 용이하고, 악성 행위에 대한 근거를 수집하여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인 대응이 가능해 질 전망이다.

ETRI는 본 기술로 SCI 등 논문 18편, 국내외 특허출원 11건, 기술이전도 시행했으며 내년경 업체 이전을 통해 상용화를 이룬다는 계획이다. 본 기술은 올 해초 ICT 관련 국제학술대회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키도 하였다.

한편, 본 연구개발의 핵심 기술인 '봇트래커'(BotTracker)는, IEEE(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가 독일서 지난 8월말 주최한 게임 인공지능 기술경연대회인 '봇프라이즈'(BotPrize 2014)에 참가, 게임봇 판정 기술 부문 세계 1위를 차지함으로써 국내 게임 인공지능 기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도 했다.

ETRI 이헌주 스마트게임플랫폼연구실장은 "멀게만 느껴졌던 인공지능 기술이 게임봇 판정과 같은 높은 수준의 응용 서비스에도 적용되면서, 그동안 축적되어 왔던 국내 기반기술이 도약하는 계기가 되었다" 고 설명했다.

ETRI는 문화체육관광부 콘텐츠산업기술지원사업의 연구지원을 받아 총 3차년도에 걸쳐 진행되는 "온라인 게임을 위한 게임봇 탐지 및 대응 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본 기술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향후 메이저 게임사들과 함께, 북미, 유럽, 중국 등 글로벌 서비스 중인 게임에 게임봇 기술을 적용,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향후, ETRI는 대규모 게임 데이터를 활용, 국내 게임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핵심원천기술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홈페이지 보기
  •  트위터 보기
  •  페이스북 보기
  •  유투브 보기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