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세미컨덕터,중국에 자동차 솔루션 엔지니어링 센터 설립과 배터리 구동 제품용 저전력 솔루션인 집적 전압 레귤레이터 출시
  • 2010-06-11
  • 편집부

중국에 자동차 솔루션 엔지니어링 센터 설립과 배터리 구동 제품용 저전력 솔루션인 집적 전압 레귤레이터 출시


고부가가치의 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전력 관리 솔루션 개발을 위한 전문 기술을 지역 내 자동차 고객사들에게 지원, 제공
온세미컨덕터가 중국에 새 SEC 시설을 도입함으로써 솔루션 엔지니어링 센터의 전세계 네트워크를 확대했다고 발표했다. 자사의 기존 상하이 캠퍼스 내에 위치한 새 SEC는 자동차 신제품 계획들을 추진하고 현장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자사의 현지 서비스 역량을 확대할 것이다.
온세미컨덕터 선임 부사장 및 전세계 APG 사업부 총괄 매니저인 앤디 윌리암스는 “우리는 중국의 자동차 전자산업이 향후 5년 동안 연간 20% 이상으로 성장하리라 기대한다”면서 “상하이에 자동차 기반의 SEC 설립을 통해 당사는 대중국 사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아시아 태평양 전 지역의 주요 자동차 고객사들과의 관계도 더욱 공고히 할 것이다. 전 세계에 있는 온세미컨덕터의 총 7개 솔루션 엔지니어링 센터처럼 이 상하이 SEC는 당사 고객사들의 미래와 차세대 제품군의 성공을 위한 직접적인 투자라 보면 된다. 우리는 고객사들에게 기술 전문가들을 더 가까이 둠으로써 솔루션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들을 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플랫폼 문제점 해소를 위해 우리의 전문 인력들을 이용해 대고객 서비스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온세미컨덕터의 아시아 태평양 판매 담당 부사장 데이비드 초우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인 중국에서 자동차 전자 산업 분야가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그는 “중국의 현지 제조업체들은 뛰어난 기술력과 현지화된 제품 및 서비스를 강화하므로 이번에 개소한 SEC 는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 당사의 자동차 솔루션 비즈니스를 더욱 확대하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상하이에 위치한 SEC는 현지 및 전 세계의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을 다루고 시스템 전문가들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 내의 자동차 고객사들에게 신제품 개발을 통해 새로운 수입을 창출하도록 파워 솔루션을 제공할 것” 이라고 말했다.

높은 리플 제거 효과, 탁월한 노이즈 성능 및 빠른 턴온타임을 제공하는 50mA LDO 리니어 전압 레귤레이터
저전력 전압 레일 생성에 필요한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저전류 전압 레귤레이터NCP-508을 발표했다. 이 레귤레이터는 터치 스크린, 키패드, 스마트폰, 휴대용 미터기, 프린터 및 리모콘 등의 애플리케이션에 저전력, 효율적인 공간 및 저비용 설계를 지원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NCP508은 50mA 이상의 전류에서 작동이 가능하며, 총 높이 1.10 mm에 2.2mm×2.2mm 풋프린트의 콤팩트 SC-88A 패키지로 제공된다. 이 새로운 소자는 전압 공급에 효율적인 필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70Db(1kHz)의 높은 리플 제거 효과를 낸다. 1μA 이하의 전류 소비가 휴대용 기기의 배터리 수명을 더 늘리는데 문제가 발생할 때, 40μVrms (1.5V)의 우수한 노이즈 성능은 매우 깨끗한 출력 전압을 가능케 한다. 30mA 로드에서의 140mA저전압 드롭아웃 기능으로 인해 보조 전력 레일의 설계가 유연해진다.
NCP508은 최대 7V의 작동 전압을 갖지만, 일시적인 13V의 고전압까지는 견딜 수 있으므로 외부 보호 회로의 필요성을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한다. 표준 출력 전압은 1.5V, 1.8V, 2.5V, 2.8V이며 3.3V은 100mV 단계로 나누어지는 전압치와 함께 제공된다. 각 소자는 전류 제한 및 과열 보호 회로 모두를 포함한다. 작동 전압 범위는 -40°C에서 +85°C이다.
온세미컨덕터의 레귤레이션 제품 디렉터 마이크 패킷은, “이 새 전압 레귤레이션 솔루션은 보드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전력 소비도 더 많은 개별 부품 소자들에게 저비용의 대안을 제시한다.”고 말하면서 “NCP508은 경제적이고 안정적이며 고신뢰도에 최소 전력을 소비하는, 사용이 편리한 전압 레귤레이션을 필요로 하는 소형, 배터리로 구동되는 제품들의 설계 및 개발에 요구되는 모든 조건을 충족한다”고 전했다.


박종배 기자(jbpark@eucrastine.com)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홈페이지 보기
  •  트위터 보기
  •  유투브 보기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