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크로이,LogicStudio, 이제는 PC로 디지털, 시리얼 및 아날로그 디버깅
  • 2010-06-10
  • 편집부

LogicStudio, 이제는 PC로 디지털, 시리얼 및 아날로그 디버깅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전문업체인 르크로이(www. lecroy.co.kr)는 PC로 디버깅이 가능한 로직 분석기 LogicStudio 16을 발표했다. LogicStudio 16 하드웨어는 16채널이며, 1GS/s의 샘플 속도와 최고 100MHz의 입력 주파수를 가진다.
소프트웨어는 간단한 마우스 조작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메뉴 환경을 지원하고, 생생하고 역동적인 파형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장비 사용은 간단하지만 풍부한 툴을 갖추었다. LogicStudio는 타이밍 커서, 파형의 확대와 표시, 퍼시스턴스 디스플레이와 이미 포착된 데이터를 다시 볼 수 있는 히스토리 모드 등 디지털 디버깅에 적합한 광범위한 툴을 갖추고 있다. 포착된 파형의 디코딩에 I2C, SPI, UART의 프로토콜 분석 기능이 포함되었고, 해당 버스의 특정한 어드레스나 데이터 패킷에서 트리거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르크로이 WaveJet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는 엔지니어나 기술자들은 LogicStudio 소프트웨어를 WaveJet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오실로스코프로 부터 아날로그 파형을 PC로 가져와 디지털 채널과 동시에 화면에 표시해내며, PC를 최대 4채널 아날로그와 16채널 디지털 채널을 제공하는 혼합 신호 오실로스코프로 활용할 수 있다.
LogicStudio 소프트웨어는 디지털 디버깅에 걸맞는 쉬운 사용환경을 갖추었다. 간단한 마우스 조작만으로도 LogicStudio는 쉽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탐색하므로, 디버깅이 더욱 쉽고 빠르다. 파형을 스크롤하려면 마우스 왼쪽을 클릭하여 드래그하기만 하면 된다. 파형중 관심 있는 부분을 더블클릭하면, 화면의 중앙에 관심영역이 위치하며, 마우스의 휠을 돌리거나,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하여 드래그하면 파형을 확대하여 자세하게 관측할 수 있다. 데이터가 포착되어 빠른 속도로 화면에 표시되고, 이것이 퍼시스턴스 툴과 히스토리 모드와 결합되면 글리치나 문제점을 빠르게 찾아낸다. 확대 툴은 사용자가 길게 포착한 데이터에서 포착 환경을 변경하지 않고도 원하는 부분을 검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타이밍 측정을 하려면 화면 어디에서든 한쌍의 커서를 활용할 수 있고, 퍼시스턴스 측정을 위해 커서를 파형의 에지로 즉시 이동시킬 수 있다.
트리거 기능은 로직 분석기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 LogicStudio는 다른 로직 분석기의 트리거 기능보다 뛰어나고 다양한 트리거 기능을 제공한다. 오실로스코프처럼 Auto, Normal 또는 Single 모드 트리거를 갖는다. USB 연결방식으로 동작하는 어떤 로직 분석기는 단순한 싱글트리거 모드로만 동작하지만, 르크로이의 LogicStudio는 데이터를 PC로 전송할 때 시간 지연 없이 연속 포착이 가능하다.

이재용 기자(hades@eucrastine.com)

 

60GHz 실시간 고대역폭 오실로스코프 기술 공개

르크로이코리아(지사장 이운재)는 6세대 디지털 대역폭 인터리브(DBI: Digital Bandwidth Interleave) 기술을 자사의 뉴욕 디자인 랩에서 성공적으로 시연했다. 이 최신 기술은 새로운 프런트-엔드 칩을 사용해 더 낮은 노이즈와 더 높은 실재 대역폭을 구현해냈다.
새로운 반도체와 향상된 DBI 기술의 결합이 현재 업계 최고인 르크로이의 30GHz의 두 배에 달하는 60GHz의 진정한 아날로그 대역폭을 제공하는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기술을 탄생시켰다.
이 신기술을 사용한 제품 개발은 이미 시작되었고 향후 2년간 하이엔드 제품의 생산 계획이 공개될 예정이다. 이 기술을 사용한 첫 제품은 2010년 말 경에 출시될 예정이며, 4채널에서 45GHz 대역폭을 제공한다.
르크로이는 2채널에서 30GHz 대역을 가진 WaveMaster 8Zi 오실로스코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제품은 업계에서 현재 가장 높은 대역폭을 제공한다. 차세대 연구와 개발의 중심이 초고속의 신호 충실도가 필수적인 시리얼 데이터 링크로 옮겨감에 따라 르크로이의 45GHz 기술이 주목받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홈페이지 보기
  •  트위터 보기
  •  페이스북 보기
  •  유투브 보기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