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WB 기술과 RTLS 표준화 통한 비전 발표… 올해 3세대 UWB SoC칩 출시 완료
커넥티비티 및 전력 솔루션 기업 코보(Qorvo)가 미디어 라운드 테이블을 통해 자동차, 모바일, 산업용 초광대역(Ultra-wideband, 이하 UWB) 사업을 전면 확대한다고 밝혔다.
코보는 최근 1년간 약 40억 달러의 매출과 연간 약 80억 개에 달하는 디바이스 출하 규모를 기반으로, 연결성(Connectivity)과 모빌리티(Mobility) 중심의 UWB 적용을 가속한다. 특히, 올해 3세대 UWB SoC 칩 QM35825 출시(40nm UWB 플랫폼 기반)로 산업 적용 시나리오와 잠재력을 한층 강화했다. 향후 코보는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IT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UWB 기반 통합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한 웨슬링, 코보 아시아태평양 지역 마케팅 수석 매니저
한 웨슬링 코보 아시아태평양 지역 마케팅 수석 매니저는
“IoT 확산으로 정밀 위치 측정 기술이 핵심 역량으로 떠오르면서, 코보의 UWB가 산업 전반에서 더 정확하고, 더 안전하고, 더 친환경적인 연결 경험을 구현하고 있다”며,
“모바일을 넘어 커넥티드 카, 산업·엔터프라이즈로 빠르게 확장해 실질적인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자동차 분야에서는 안전한 차량 액세스가 UWB의 대표 활용 사례로 자리 잡았다. 특히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 DCK(Digital Car Key) 표준에 UWB가 폭넓게 적용돼, 프리미엄 차량 뿐만 아니라 모든 차량으로도 확산 중이다. 일부 브랜드는 전 차종 UWB 옵션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UWB가 차량에 기본 탑재되면서 CPD(Child Presence Detection, 아동 감지) 등 안전 규격 충족을 위한 신규 활용이 가능해지고 있다. 코보는 차량 UWB 채택률과 수요가 연평균 25~30%대 성장세를 보이며, DCK + CPD로 차내 포지션이 넓어지는 흐름을 확인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규모 UWB 인프라 롤아웃 진행
코보는 산업·엔터프라이즈 부문에서 대규모 UWB 인프라 롤아웃을 진행 중이다. 와이파이 7 AP에 UWB를 통합(예: 주요 네트워킹 벤더의 AP)하거나 독립형 앵커·USB 동글로 레트로핏해 기존 설비에 RTLS(실시간 위치추적)를 손쉽게 추가할 수 있다.
또한, FiRa·CCC·omlox 등 개방형 표준 기반 상호운용성이 강화되며, 과거 폐쇄형 전용 RTLS의 한계를 넘어 믹스&매치형 생태계로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는 총소유비용(TCO) 절감, 확장성 제고, 벤더 종속 최소화로 이어진다.
한국 시장, UWB 전환 가속화 기대
코보는 RTLS(실시간 위치 추적 시스템) 표준화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로케이션 엔진/애플리케이션), 인프라 업체(AP/네트워킹), 태그·모듈 제조사 등 3개 레이어 파트너와 함께 완성형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국내 기업도 RTLS 표준화를 진행해 전용 RTLS로 인한 호환성 저하와 한정된 잠재 고객 풀을 해결할 수 있다. 병원·제조·물류·리테일 등 다양한 현장에서 환자·장비 위치 파악, 동선 최적화, 안전(충돌 방지) 등 즉시 ROI를 제공하는 프로젝트를 확대하고 있다.
한 웨슬링 수석 매니저는 “
한국은 첨단 제조와 헬스케어 수요가 강한 전략 시장이자, 코보에게 매우 중요한 시장이다. 코보도 많은 국내 고객을 보유하고 있다”라며,
“서비스·인프라·태그 파트너 등 다양한 국내 기업도 표준화된 RTLS를 활용해 UWB 전환을 함께 가속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코보(Qorvo)는 연결성·전력·정밀 위치 기술을 바탕으로 차세대 무선·산업·자동차 시장을 이끄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이다. 2014년 산업용 UWB 상용화를 시작으로, 칩–모듈–인프라–서비스 전 레이어에 걸친 완성형 UWB 생태계를 제공한다. 코보는 개방형 표준·상호운용성을 핵심 원칙으로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지속가능한 연결 혁신을 구현 중이다.
"코보는 한국의 첨단 제조, 로봇 공학,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국의 인더스트리 4.0 이니셔티브에 부합하는
UWB 솔루션을 맞춤 개발하기 위해,
현지 시스템 통합업체 및 OEM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다음은, 한 웨슬링 수석 매니저와의 일문일답이다
Q. 산업용 UWB는 홈이나, 자동차용과는 달리, 어떤 기능적 특성이 있어야 하며, 코보 제품은 이를 어떻게 제품에 반영하였는지.
산업 환경에서는 단일 IC 단가보다 전체 배포 비용이 더 중요한 요소입니다. 코보의 솔루션은 링크 버짓을 극대화해 필요한 인프라 밀도를 최소화합니다. QM35825 SoC는 코보의 RF 프론트엔드(RFFE) 전문 기술을 통합해 우수한 통신 거리와 높은 안정성을 지원합니다.
코보는 인프라 통합에 최적화된 안테나를 포함한 풀 솔루션 패키지를 제공하고, 산업 분야의 핵심 표준인 옴록스(omlox)를 비롯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스택을 지원합니다.
코보의 솔루션은 칩 및 펌웨어를 넘어, 프로토콜, 로케이션 엔진, 구축 전문성 등 다양한 영역에서 IP를 보유한 파트너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산업 및 기업 환경에서의 시스템 구축과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산업용 애플리케이션은 소비자용과 달리, 여러 사용 사례를 지원하는 동시에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해야 합니다. QM35825는 단일한 칩으로 다양한 사용 사례를 병렬 처리할 수 있습니다. 코보는 데카웨이브(Decawave) 시절부터 제조, 물류 등 산업 분야에서 쌓아온 오랜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혁신 기술과 IP를 개발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가시선(LOS) 및 비가시선(NLOS) 시나리오에서 거리 측정값의 신뢰 구간을 제공하는 고유한 알고리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Q. 산업용 UWB에도 인공지능적인 요소가 포함되었는지, 포함되었다면 어떤 기술이 어떻게 적용되었는가.
네, 이미 자동차 분야에서 아동 감지(CPD)와 더불어 레이더 및 센싱, 거리 측정 데이터 해석을 통해 의도를 파악하는 등 다양한 센싱 애플리케이션에서 인공지능적 요소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코보 역시 센싱을 넘어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실시간 엣지 컴퓨팅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거리 및 위치 측정에 신뢰 구간을 부여하고, 해당 데이터와 신뢰 수준을 기반으로 로컬 단에서 의사결정 수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코보의 정밀 위치 솔루션은 AI 기반 시스템이 더 현명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맥락 특화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지금까지의 위치 데이터는 의미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자동화된 결정을 내리기에는 판단 정보가 부족하거나 정확도가 충분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UWB를 입력 데이터 및 학습 데이터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도록 보장합니다.
Q. 산업용 통신으로 쓰려면, 다른 산업용 통신 표준과 호환 내지 보안이 원활이 이뤄져야 할텐데, 이 부분은 어떻게 처리했나.
Wi–Fi 엔터프라이즈 엑세스 포인트(EAP)에서 UWB 도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FiRa 및 옴록스(omlox)를 활용한 표준화된 RTLS를 도입합니다. 이러한 표준은 인프라 및 태그를 포함한 모든 솔루션에서 지원됩니다.
고객 및 파트너와의 엄격한 시스템 테스트를 통해 코보가 제공하는 구성 요소의 즉각적인 상호 운용성을 보장합니다. 코보는 산업 및 기업 사용 사례의 기존 격차를 최적화하고 해소하기 위한 표준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Q. 한국 시장의 타깃 시장 내지 확대 방안이 있다면.
코보는 한국의 첨단 제조, 로봇 공학, 스마트 팩토리 분야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한국의 인더스트리 4.0 이니셔티브에 부합하는 UWB 솔루션을 맞춤 개발하기 위해, 현지 시스템 통합업체 및 OEM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자동화 및 디지털 혁신을 촉진하고, 한국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헬스케어 및 유통 분야의 국가적 목표 달성에도 기여할 예정입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