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로봇프로세스자동화’ 기술을 총 900개 업무에 도입 계획
  • 2020-04-16
  • 박종배 기자, jbpark@elec4.co.kr

LG전자가 2020년 말까지 약 400개 업무에 ‘로봇프로세스자동화(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기술을 추가해 총 900개 업무에 도입할 계획이다.

직원들이 보다 스마트하게 일할 수 있도록 2018년부터 최근까지 회계, 인사, 영업, 마케팅, 구매 등 사무직 분야 약 500개 업무에 RPA 기술을 도입했다.

특히 2020년부터 RPA를 적용한 업무영역을 넓히기 위해 기존 RPA에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을 결합한 ‘지능형 RPA(Intelligent RPA)’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지능형 RPA는 단순, 반복 업무 외에도 비교, 분석 등 한층 고차원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 로봇 소프트웨어로 자동화 지능형 RPA 본격 도입

기존 RPA의 경우 제재 거래선과 LG전자 거래선의 이름이 완벽히 일치해야만 확인이 가능했던 것에 비해 지능형 RPA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기법을 활용해 거래선 명칭이 비슷한 경우에도 알려준다.

또 인도법인은 항공료 영수증의 세금 항목을 회사 시스템에 입력하는 업무도 지능형 RPA가 처리한다. RPA는 인공지능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해 영수증에서 필요한 항목만 뽑아낸다. 인공지능 이미지 인식 기술은 이미지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 입력, 처리할 수 있으며 인공지능 학습을 통해 인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RPA는 사람이 처리해야 하는 반복적이고 정형화된 업무를 로봇 소프트웨어로 자동화하는 기술이다. LG전자는 2018년 초 사무직 직원들이 보다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하면서 업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RPA 기술을 도입했다.

로봇 소프트웨어는 직원이 직접 회사 시스템에 로그인해 데이터를 내려받고 특정 양식의 보고서에 입력했던 일들을 대신 수행한다. 직원들은 데이터 조회와 정리 등 단순 업무에 시간을 소요하는 대신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는 데 집중할 수 있다.

LG전자는 스마트하게 일하는 조직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한 주를 시작하는 월요일을 ‘회의 없는 날’로 정해 업무에 더욱 몰입하도록 하고 월요일 회의를 준비하기 위해 굳이 주말에 출근하는 일이 없도록 했다. 또 격식에서 벗어나 유연하고 스마트하게 일할 수 있도록 주 5일 캐주얼데이를 운영하고 있다.

LG전자는 단순 업무를 줄여 보다 가치 있는 일에 집중하고 스마트하게 일하는 문화를 만들기 위해 지능화된 로봇기술(RPA)을 지속 늘려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로봇   #스마트팩토리   #전력  
  •  홈페이지 보기
  •  트위터 보기
  •  페이스북 보기
  •  유투브 보기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