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인프라 및 비즈니스 모빌리티 솔루션 기업인 VM웨어코리아가 16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클라우드 가상화 컨퍼런스 ‘v포럼 2017(vFORUM 2017)’을 개최하고, 함께 마련된 기자간담회를 열어 비즈니스 전략을 소개했다. 이 자리에는 VM웨어코리아 전인호 사장과 함께 VM웨어 아시아태평양지역 던컨 휴엣(Duncan Hewett) 총괄 사장도 내한해 함께 했다.
VM웨어 던컨 휴엣 사장은 기본 전략에 대해 “어떤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더라도 모두 원활히 연결하고 서비스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면서 “물론 이때 보안 지원도 확실해야 한다”고 말했다. VM웨어의 ‘애니 클라우드, 애니 애플리케이션, 애니 디바이스(Any Cloud, Any Application, Any Device)’ 비전을 설명한 것이다.
한국의 기업들은 원하는 시점에 필요한 규모로 인프라를 확장하면서도 낮은 비용을 원한다면서 VM웨어의 클라우드 솔루션이 한국 기업의 IT 기반의 혁신을 가속할 수 있도록 열심히 돕겠다고 말했다.
이어 IT가 비즈니스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라면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 기업이 차별화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소비자 경험을 향상하는 데 애플리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설명했고,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실행하는 디바이스가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면 기반이 되는 클라우드 환경과 같은 인프라의 확장성을 제대로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은 기술적인 부분보다 오히려 프로세스와 직원의 변화가 중요하다고 설명하면서 인도국립은행을 예로 들었다. 최근 인도국립은행은 여직원들의 업무 효율 향상을 위해 VM웨어 기업용 가상 업무공간 플랫폼인 ‘워크스페이스 원’을 도입해 활용 중이고, 사용자가 빠르게 늘어 지금은 5만 명이 사용 중이라고 말햇다.
한편, v포럼 2017은 오전 던컨 휴엣(Duncan Hewett) 총괄 사장과 로만 타납스키 VM웨어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석아키텍트의 기조연설 후 오후에는 VM웨어와 관련 업체가 ▲디지털 워크스페이스 강화 ▲보안 혁신 ▲데이터센터 현대화 ▲퍼블릭 클라우드와의 통합 등 4개 트랙, 총 28개 세션을 진행했고,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관련한 기술 소개, 삼성전자 등 다수의 VM웨어 고객들의 사례 발표를 진행했다. 또 부스 전시에는 총 18개 국내외 후원사가 참여해 v포럼 2017을 채웠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