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크포인트, 강력한 위협 방어 솔루션 어플라이언스 시리즈 출시
  • 2016-03-17
  • 편집부

완벽한 위협 방어와 첨단 모니터링 기술로 성능 저하없이 치명적 사이버 공격에 대응 환경 구축

세계 최대의 보안 전문 기업 체크포인트 소프트웨어 테크놀로지스는 위협 방어를 위한 신제품 15000 및 23000 시리즈 어플라이언스 제품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특별한 용도로 고안된 이 새로운 하드웨어는 한층 복잡해지는 데이터배열 모니터링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위협으로부터 기업을 보호할 수 있다.

더욱 정교하게 진화하고 있는 사이버 범죄 및 공격으로 인해 기존 보안 솔루션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체크포인트가 발행한 2015년 보안 보고서에 따르면, 매 시간마다 알려지지 않은 106가지의 멀웨어가 다운로드 되고 있으며 이 수치는 계속 증가 추세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네트워크 성능과 가동 시간에 대한 우려로 인하여, 제로 데이(zero-day)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전향적인 보안 기술을 이용하는 기업은 단 1%에 불과한 상황이다. 또한 위협 환경에 대한 중요한 최신 정보를 제공하는 적절한 위협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이용 중인 기업도 10%에 지나지 않는다.

  

 

새로운 체크포인트 15000 및 23000 시리즈는 현재와 미래의 보안 요구를 충족하는 전용 플랫폼과 가장 완전한 첨단 위협 방어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성능이나 가동 시간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현재의 기업 및 데이터센터 네트워크를 보호해 준다.

체크포인트 제품 관리부문 가비 레쉬(Gabi Reish) 부사장은 “사이버 공격 방어를 위해서는 모든 규모의 기업들이 더 강하고 빠르고 정교하게 인프라를 적응시켜 나가야 한다”라며, “체크포인트 15000 및 23000 시리즈 어플라이언스는 데이터센터에서 전 영역의 위협 방어를 지원함으로써 현재와 미래의 첨단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여 한 발 앞서 나가는 데에 필요한 툴을 IT 리더들에게 제공한다.”라고 전했다.

체크포인트 15000 및 23000 시리즈 어플라이언스는 다음의 특장점을 통해 새로운 수준의 데이터센터 보안을 지원한다.

· 업계 최고의 첨단 위협 방어.

공격 발생 전 사전 방지 중심의 차세대 기술이 필요한 현재의 위협 환경을 위해 방화벽, 침입 방지 시스템(IPS), 안티봇, 안티바이러스, 애플리케이션 제어, URL 필터링 및 체크포인트 샌드블래스트에 도입된 샌드박싱 기술 등을 어플라이언스에 완전히 통합하여 공급함으로써 최첨단 침입 방지 성능을 구현했다.

· 최고의 확장성 갖춘 견고한 솔루션, 암호화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에 대응.

2017년까지 기업에 대한 모든 공격의 절반 이상이 암호화된 트래픽에서 유래할 것이라는 예상에 따라 개발된 제품으로 성능 저하 없이 암호화된 혼합 트래픽 전체(SSL:Secure Socket Layer)를 검사할 수 있다.

· 미래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미래 경쟁력을 갖춘 기술 플랫폼.

완전한 이중화(comprehensive redunduncy-포괄적인 중복성), 유연한 네트워크 연결성(구리 및 광섬유), 대역 외 관리를 통한 서비스 용이성, 증가하는 데이터 용량을 관리할 수 있는 40G 확장 카드 등의 혁신적인 설계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미래를 위한 강력한 보안 기반을 구축하는 동시에 현재의 과제를 해결하도록 개발되었다.

데이터웨이(Dataway)의 사이몬 루이스(Simon Lewis) 최고경영자는 “위협 완화는 현재의 IT 인프라 내에서 절대적인 필수품으로서, 우리는 고객들에게 최고의 품질 표준을 제공하고, 역동적으로 진화하는 위협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라며, “체크포인트는 대기업의 보안 복잡성을 이해하고 악의적인 공격으로부터 고객이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에 대해 잘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체크포인트 15000 및 23000 시리즈 어플라이언스는 체크포인트의 글로벌 네트워크 파트너를 통해 현재 판매되고 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보안   #체크포인트   #15000   #23000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