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DN 작업 프레임 하에서 SM-OS 기반 마이크로파 무선 상의 L3VPN 서비스 구현
SIAE마이크로엘레트로니카(www.siaemic.com)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6’(Mobile World Congress 2016)에서 기존의 SM-OS(https://goo.gl/lBWEny) 기반 마이크로파 포트폴리오에서 구현한 ‘차세대 IP’(new IP) 네트워크를 전시하며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oftware Defined Network, https://goo.gl/vLRwxi) 분야의 진전을 과시한다.
SIAE 마이크로엘레트로니카는 2014년 4월 SM-OS를 출시했다. SM-OS는 아리센트(Aricent)의 ISS로 구동되는 FPN운영시스템(Future Proof Network Operating System)으로 이 회사의 모든 차세대 제품에서도 작동하도록 설계됐다. SM-OS 기반 제품은 출시 당시 모든 캐리어 이더넷(Carrier Ethernet)의 요건을 충족했으며 현재 대부분 현장에서 검증됐다. 2015년에는 L2에서 L3 마이크로파로 진화하며 IP/MPLS의 원천 지원을 입증했다. 현재 SM-OS는 SDN 운영을 지원하는 네이티브 오픈플로우 프로토콜(native openflow protocol)을 실행한다.
차세대 IP 실행에서 ‘아리센트 인스턴트 VPN’(Aricent instant VPN) 애플리케이션은 오픈데이라이트(opendaylight: 오픈 소스 SDN 컨트롤러)에서 구동돼 MPLS 터널로 패킷을 전송하는 AGS20 마이크로파 무선(AGS20 microwave radio, https://goo.gl/nT6xFr) 네트워크 요소에서 L3VPN 서비스를 구현한다. 이는 현재 L2 캐리어 이더넷 모바일 백홀링 네트워크에 구축된 것과 동일한 하드웨어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또한 일반 IP/MPLS 네트워크에 대해 완벽한 운영을 뒷받침하는 BFP 피어링도 지원한다.
파올로 갈비아티(Paolo Galbiati) SIAE마이크로엘레트로니카 제품라인 관리 본부장은 “차세대 IP 실행은 합리적 비용의 전송 플랫폼에서 어떻게 L3VPN을 구축하는 동시에 백홀 네트워크에 추가 장비를 설치할 필요 없이 그 같은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그는 “SIAE마이크로엘레트로니카는 ONF 인더스트리(ONF Industry)의 퍼스트 와이어리스 트랜스포트(First Wireless Transport) SDN 개념 검증 완수 작업에 참여한 데 이어 마이크로파 무선 상의 차세대 IP를 개척하며 SDN 전송 실행의 지평을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라케쉬 비지(Rakesh Vij) 아리센트 최고비즈니스책임자는 “SDN/NFV는 차세대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되는될 방식을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리센트 SDN/NFV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오픈 디자인, 오픈 API, 오픈 소스 접근 방식을 통해 구축된 L3VPN을 제공한다”며 “이는 차세대 네크워킹 패러다임의 핵심으로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SIAE마이크로엘레트로니카 SM-OS와 함께 인스턴트 VPN 애플리케이션을 전시함으로써 SDN이 비용 효율이 우수하고 유연한 마이크로파 백홀 전송 네트워크 구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 지를 입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