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인도 최대 민간 발전업체인 아다니 파워가 획기적인 그린 암모니아 연소 시범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이는 다각적인 탈탄소화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문드라 공장에서 실행됐다. 기존 석탄 화력 330MW 유닛의 보일러에서 최대 20%의 그린 암모니아를 동시 연소할 예정이다.
온라인기사 2023-11-30
LS전선아시아가 신사업 진출에 맞춰 사명을 LS에코에너지로 변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 전력 및 통신 케이블 중심의 사업을 해저케이블과 희토류 등으로 확대,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온라인기사 2023-11-28
두산에너빌리티가 필리핀에서 국내 산?학?연과 함께 개발한 한국형 가스터빈 기술력 홍보에 나섰다.
온라인기사 2023-11-27
지멘스에너지가 프랑스 산업용 가스 기업인 에어리퀴드와 협력해 독일 베를린에 기가와트급 수전해 공장을 설립하고 수소 기술 양산을 위한 공식 가동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지멘스에너지는 수전해 기기 대량 생산 체제에 돌입하면서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SK그룹이 넷제로 조기 달성을 위해 국내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직접구매계약을 체결한다. 최근 SK텔레콤, SK실트론, SK머티리얼즈 등 9개 계열사와 SK E&S가 재생에너지 직접 PPA를 위한 거래협정서를 체결했다.
온라인기사 2023-11-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저장연구단 장보윤 박사 연구진이 상온에서도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진 전고체 전지용 복합 고체전해질을 개발에 성공했다.
대한전선이 영국 발포어 비티와 지중 송배전 사업에 대한 파트너십 구축 관련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런던 전역의 전력 공급 안정화를 위해 도심을 가로지르는 지하 터널을 건설하고 전력망을 구축하는 초대형 사업으로, 대한전선이 400kV급 전력망 일체를 공급한다
2030년까지 재생 에너지 용량을 세 배로 늘리려는 각국 정상들의 움직임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달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리는 COP28(제28차 유엔 기후변화회의)에서 주요 의제로 다루어질 예정이다.
온라인기사 2023-11-23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변환소재연구센터 최혜경·윤민주 박사팀이 자연계에 없는 ‘메타물질’을 활용해 열전발전 소자의 신축성과 효율성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온라인기사 2023-11-21
무탄소(CF) 연합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엑슨모빌, EPRI 등 미국 주요 기업들과 함께 무탄소에너지 활용 확대 방안을 본격 논의하였다.
온라인기사 2023-11-19
두산에너빌리티가 무탄소 에너지 개발사업 전문 자회사 ‘두산지오솔루션’ 설립을 결정했다. 두산지오솔루션은 해상풍력, 수소, 연료전지 등 무탄소 에너지 프로젝트를 발굴, 투자하고 운영과 유지 · 관리까지 총괄하는 디벨로퍼(개발사업자) 사업을 수행한다.
온라인기사 2023-11-16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기후 컨설팅 및 넷제로 솔루션을 제공하는 자회사 에코액트(EcoAct)의 인수를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로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글로벌 지속가능성 비즈니스 솔루션을 보다 확대하고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배터리 얼라이언스가 "사용후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업계(안)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률(안)”을 정부에 제출했다. 배터리 얼라이언스에는 배터리 3사, 자동차사, 재제조?재사용?재활용기업, 폐차업계, 보험업계 등 24개 기관 참여하고 있다.
온라인기사 2023-11-15
한화오션이 해상풍력분야 투자 확대를 통해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해양 에너지 가치사슬(value chain) 확장을 위한 신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온라인기사 2023-11-14
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실행력을 확보하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한 무탄소에너지 동맹으로 재도약하기 위한 「한-미 동맹 70주년 기념 청정에너지 콘퍼런스」를 개최하였다.
온라인기사 2023-11-13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엠버로드의 제조 AI 솔루션을 사용하기 쉬운 이유
[말말말] 2025년에도 이어지는 인공지능 트렌드는
[말말말] ADI가 최근 포커싱하는 분야는 바로 여기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