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한국전력이 1월 9일(목) 한전 제주본부에서 ‘DSO-MD 제주센터’를 개소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DSO-MD 제주센터는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전력시장에 참여하는 분산에너지사업자가 보다 계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입찰 가능용량 등 정보를 제공해 배전망 내 전력거래를 원활하게...
온라인기사 2025-01-09
CIGS 태양전지(Cu(In,Ga)Se₂)는 높은 효율, 유연한 설계,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통해 차세대 태양광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CIGS 태양전지의 셀 및 모듈 제조 기술을 중심으로,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 동향과 BIPV와 같은 실용적 응용 분야에서의 가능성과 미래를 다룬다.
온라인기사 2025-01-07
미국의 데이터 센터 전력수요는 2028년까지 5년간 연평균 13~27%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전력기기 및 전선, 소형모듈원전(SMR) 제조업체들의 미국향 매출도 지속 확대가 예상된다.
온라인기사 2025-01-03
비츠로셀은 이탈리아 가스 및 수도미터 제조업체 피에트로 피오렌티니(Pietro Fiorentini SPA, 이하 피에트로)와 167억원(1100만유로) 규모의 리튬일차전지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계약 기간은 2025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다.
온라인기사 2025-01-02
KAIST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기술 박람회인 ‘국제전자제품박람회(이하 CES 2025)에서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 또한, KAIST 창업기업인 ㈜버넥트, 스탠다드에너지㈜, ㈜에이투어스, (주)파네시아는 2025 CES 이노베이션 어워드(Innovation Award)를 수상했다.
커먼웰스 퓨전 시스템(CFS)은 버지니아주 체스터필드 카운티의 제임스 리버 산업 공원에 세계 최초의 그리드 규모 상용 핵융합 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했다.
온라인기사 2024-12-27
“ 최근 몇 년간 AI가 기술 산업의 화두로 주목받아 왔으며, 이러한 흐름은 2025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5년에는 산업별로 특화된 분석 모델 활용, 규제 문제, 환경적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AI 관련 이슈가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HD현대인프라코어가 군산 사업장 내 약 1만 9000평 부지에 1168억원을 투자해, 2027년 말까지 방산·초대형 발전용 엔진 생산공장과 배터리 패키징 공장을 건축하고 양산 설비를 구축한다.
온라인기사 2024-12-26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2025년 1월 1일부로 권지웅 현 전력 사업부 부사장을 신임 대표로 선임한다.?권지웅 신임 대표는 2018년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에 합류하여 한국·대만·몽골 클러스터의 IT 사업부 비즈니스 부사장을 역임한 후, 2021년부터 전력 사업부 비즈니스 부사장으로 한국 시장에서...
온라인기사 2024-12-23
LG에너지솔루션이 시스템 온 칩(SOC) 기반의 새로운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진단 솔루션의 상용화에 나선다. 저사양 하드웨어로 구동됐던 기존 BMS와 달리 고성능 SoC 컴퓨팅 성능을 활용하는 BMS 솔루션은 업계 최초다.?
GE 버노바는 한국전력공사가 추진 중인 동해안-수도권 HVDC 2단계 프로젝트에 합작법인 카페스(KAPES)를 통해 고압직류송전(HVDC) 시스템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GE 버노바 첨단연구센터는 미국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에 3.4MW-140m 풍력터빈을 공급했다고 발표했다. 양 기관의 긴밀한 협력과 정부·민간 부문 간 파트너십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혁신적인 에너지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온라인기사 2024-12-22
건국대학교 이위형 교수팀이 중수소를 활용한 새로운 소재 기술을 개발해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안정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온라인기사 2024-12-21
효성중공업이 한국남동발전과 ‘수소엔진발전 사업 공동 추진’ MOU를 체결하고 수소발전 시장 공략에 나선다.
ABB가 지멘스 가메사로부터 가메사 일렉트릭의 파워 일렉트로닉스 사업부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인수를 통해 ABB는 고출력 재생에너지 전력 변환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말말말] 전력 반도체 산업에서 협력이 필요한 이유는
[말말말] 엠버로드의 제조 AI 솔루션을 사용하기 쉬운 이유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