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중소기업스마트제조혁신기획단(이하, ‘기획단’)은 2020년 1월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의 스마트제조혁신 전담 조직으로 신설된 조직이다. 4차 산업 혁명시대에 발맞추어 스마트공장 보급·확산과, DNA(Data, Network, AI) 기술 기반의 중소 중견제조기업의 스마트화 사업 등 스마트 제조혁신의 플랫폼 역할을
지면기사 2022-04-05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 연구팀이 지난 2021년 8월에 뉴런과 시냅스를 동일 평면 위에서 동시 집적으로 ‘인간의 뇌를 모방한 뉴로모픽 반도체 모듈’을 개발한데 이어 이번에는 ‘인간의 촉각 뉴런을 모방한 뉴로모픽 모듈’을 개발하는 데에 성공했다.
올해는 ‘스마트제조혁신’ 사업에 총3,663억 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정책은 정부가 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중점 정책으로 2020년까지 19,799개에서 2021년 25,008개(잠정), 2022년 30,000개를 목표로 한다.
지면기사 2022-03-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디지털전환추진단’은 제조 산업 지능화 역량을 강화하고, 제조업의 디지털전환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현 이낙규 원장 취임 초기인 2019년 초에 만들어졌다.
"가장 큰 차별점은 순수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모션 제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모벤시스의 독보적인 모션컨트롤 기술인 소프트웨어 기반의 ‘WMX 솔루션’은 추가적인 PLC, 제어기 등 없이 Windows PC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만으로 다양한 고속 다축 모션 제어를 실현한다."
"지속적 학습 기법(Continual Learning)을 활용해 산불 감지를 방해하는 도시 불빛, 자동차 전조등 등을 인식합니다. 기존의 학습으로 얻은 주간 화재 감지 성능을 유지한 채 새로운 학습으로 야간 화재까지 인식합니다."
지면기사 2022-02-22
자일링스의 체탄 호나(Chetan Khona) 디렉터(산업, 비전, 헬스케어 및 과학 부문)는 온라인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고 혁신적인 엣지 AI 추론을 위한 크리아(아(Kria) SoM 시장을 확대할 것임을 강조했다.
온라인기사 2022-02-16
향후 2-5년 간 혁신을 가속화하고 경제?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10대 기술 동향이 발표됐다.
지면기사 2022-02-04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클라우드 애저(Azure)를 통해 국내 다양한 의료기관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과 함께 의료기술 및 서비스 혁신 사례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환자의 미래 건강상태를 예측하기 위해 의료기관에 인공지능(AI)을 도입, 다기관 협진에 나섰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정기훈, 이도헌 교수 공동연구팀이 근적외선 기반 라이트필드 카메라와 인공지능기술을 융합하여 얼굴의 감정표현을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전라남도 신안군, NIA는 올해 스마트빌리지 사업으로 추진된 신안군(도초면) ‘갯벌어장 스마트 낙지 조업지원 및 자원관리 서비스’의 성과를 발표했다.
지면기사 2022-01-21
인공지능(AI) 컴퓨팅 기술 분야의 엔비디아(CEO 젠슨 황)의 전문가들은 AI와 가속 컴퓨팅에 대한 2022년 전망을 발표했다. AI를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불확실성을 해결하는 기업들이 2022년에 또 다른 위험을 겪게 될지 아니면 탄탄대로를 달리게 될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
지면기사 2022-01-06
엔비디아(nvidia) 창립자 겸 CEO 젠슨 황(Jensen Huang)은 지난 4월 열린 온라인 GPU 기술 컨퍼런스(GTC)에서 주요 신제품과 파트너십 소개와 함께 데이터센터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엔비디아는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교(SMU), 텍사스 A&M(Texas A&M), 미시시피 주립 대학교(MSU), 레스터 대학를 비롯한 전세계 대학에서 엔비디아 시스템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