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아나로그디바이스는 22일부터 25일까지 개최되는 한국전자전(KES2024)에 참가하여 다양한 기술과 제품을 소개했다. ADI 코리아의 차성근 상무는?KES2024 미디어 투어에 앞서 가진 간담회에서, "ADI 매출의 절반 정도가 인더스트리얼 영역에 포진되어 있다. ADI의 컴포넌트 자체가 거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기...
온라인기사 2024-10-24
NXP 반도체의 UWB 제품군(Trimension® NCJ29Dx)이 아우디(Audi)의 첨단 신규 UWB 플랫폼에 적용된다. 정밀하고 안전한 실시간 위치 파악을 제공해 프리미엄 자동차 제조업체가 스마트 모바일 장치와 기타 UWB 기반 기능을 통해 핸즈프리 보안 자동차 액세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가트너(Gartner)가 주요 전략 전망을 담은 ‘2025년부터 주목해야 할 10대 전망’을 발표했다.?가트너 펠로우 겸 최고연구책임자인 다릴 플러머(Daryl Plummer) 수석 VP 애널리스트는 “분명한 사실은 우리가 어디를 가든 AI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라며, “AI는 인간이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진화하고 있다.
온라인기사 2024-10-23
로옴(ROHM) 주식회사의 EcoSiC 제품인 SiC MOSFET 및 SiC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이하, SBD)가, 일본을 대표하는 전원 메이커인 코셀 주식회사의 제품에 채용됐다. 코셀은 3.5kW 출력, 3상 전원용 AC-DC 전원 유닛 HFA/HCA 시리즈에 로옴의 SiC 제품을 적용했다고 밝혔다.
KAIST 신소재공학과 배병수 교수(웨어러블 플랫폼 소재 기술센터장) 연구팀이 한국기계연구원(원장 류석현)과 공동연구를 통해, 신축 시 이미지 왜곡을 억제하는 전방향 신축성을 갖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소재를 개발했다.
온라인기사 2024-10-22
클라우드플레어(Cloudflare)가 아태지역의 사이버 보안 현황을 집중 조명한 ‘새로운 보안 환경 탐색: 아태지역 사이버 보안 준비성 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해당 보고서는 한국을 포함한 아태 지역의 사이버 보안 대비 현황에 대한 최신 데이터를 제공하며...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성취감과 보람을 느꼈고 모든 게 기억에 남습니다. 굳이 그중에 하나만 골라야 한다면 가장 최근의 일이지만 험난한 과정 끝에 장비 제작을 완료하고 SEMI REPORT를 받던 순간을 꼽겠습니다."
민간용 드론 및 창의적인 카메라 기술의 글로벌 기업인 DJI가 Osmo Action 5 Pro(오즈모 액션 5 프로)를 출시했다. 이번 신제품은 DJI의 인기 액션 카메라 시리즈인 Osmo 라인의 최신 제품으로 전문가용 카메라와 견줄만한 성능을 탑재해 경쟁력을 더욱 높였다.
유블럭스(한국지사장 손광수)는 자사의 포인트퍼펙트(PointPerfect) GNSS 보정 서비스에 RTCM(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s) 데이터 형식 표준을 추가했다고 밝혔다.
온라인기사 2024-10-21
웨어러블 로봇 스타트업 위로보틱스(공동대표 이연백, 김용재)는 지난 19일 지리산 국립공원 경남사무소와 협력하여 탐방객에게 보행 보조 웨어러블 로봇 ‘윔(WIM)’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에브넷(Avnet)은 기업들이 최신 로봇 및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하여 혁신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 및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제공하여 운영을 최적화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MLX90416은 모터 설계 및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 피드백 센서를 없앴다. 대신에 통합 드라이브 및 피드백 알고리즘을 사용해 3상 드라이버가 제공하는 것과 유사한 작동을 제공한다.
비냉각형 마이크로볼로터 열화상 이미지센서 개발 전문 스타트업 보다(BODA)는 전북지역대학연합기술지주회사로부터 시드 투자유치를 완료했다고 21일 밝혔다.
자동차 산업에서 생체 인식 기능이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은 새로운 차량용 지문 센서 IC인 CYFP10020A00 및 CYFP10020S00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실리콘포토닉스 양자칩을 확장해 광자 8개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완성하고 8개의 광자에 의해 발생하는 양자 현상들을 실험 중이라고 밝혔다. 광자기술을 적용해 시·공간 상에서 양자의 얽힘 구현을 가능케 만든 셈이다.
온라인기사 2024-10-18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