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엔비디아가 로보틱스, 자율주행 차량(AV), 비전 AI와 같은 물리 AI 애플리케이션으로 엔비디아 옴니버스(NVIDIA Omniverse™) 통합을 더욱 확장하는 생성형 AI 모델과 블루프린트를 발표했다.
온라인기사 2025-01-07
제로원은 1월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서 제로원(ZER01NE) 부스를 마련하고 현대차그룹이 투자 및 협업 중인 스타트업 10개사의 전시를 지원한다.
온라인기사 2025-01-06
삼성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5' 개막에 앞서 5일(미국 현지시간) '삼성 퍼스트 룩 2025(Samsung First Look 2025)'을 진행해 삼성 비전 AI(Vision AI)'를 공개하며 AI 스크린의 미래를 제시했다.
한국시험인증원에서 이번에 추가 인정받은 규격은 사이버 위협에 이슈가 되고 있는 IoT 기기 및 무선기기에 대한 사이버보안 표준 규격인 EN 303 645와 EN 18031이다.
LG전자가 현지시간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5’에 참가한다.?2,044㎡ 규모의 전시관에서는 ‘공감지능과 함께하는 일상의 라이프스 굿(Life’s Good 24/7 with Affectionate Intelligence)’을 주제로 고객과 공감하며 보다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LG만의 AI
SAE에서 정의한 L2+ ~ L4 자율주행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려면 차세대 4D 및 이미징 레이더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코리아 대표이사 이승수)는 새로운 최첨단 28nm 레이더 MMIC인 RASIC™ CTRX8191F의 최종 샘플을 출시했다.
비브헬스(VIV Health)가 7일부터 개최되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서 세계 최초 생성형 수면 향상 사운드가 탑재된 스마트링 ‘비브링(VIV™ Ring)’을 공개한다고 밝혔다. 실리콘밸리의 블리츠스케일링 벤처스 크리스 예(Chris Yeh) 대표는 더밀크(The Miilk)와의 인터뷰에서 2025년 주목해야 할 10가지..
‘실현 가능한 미래를 상상하라(Envision the Future)’라는 슬로건을 내건 HL만도와 HL클레무브는 모빌리티를 넘어선 일상의 토털 자율주행 솔루션을 복층 큐브에서 선보인다.
‘AI 사업 비전의 구체화’라는 취지 아래, SK 전시관은 AI DC(데이터센터), AI 서비스, AI Ecosystem 등으로 구성돼 관람객이 실제 다양한 AI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시연 중심으로 꾸며진다.
디시오는 전력을 변환, 제어, 전달하는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전문기업으로 가전 및 차량용 반도체 소자는 물론, 발전 및 송배전용 전력변환장치에 사용되는 전력반도체 소자 및 모듈의 개발과 양산에 주력하고 있다.
온라인기사 2025-01-03
미국의 데이터 센터 전력수요는 2028년까지 5년간 연평균 13~27%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국내 전력기기 및 전선, 소형모듈원전(SMR) 제조업체들의 미국향 매출도 지속 확대가 예상된다.
AI 청소로봇이 독립적으로 엘리베이터를 탑승해 층간 이동을 하며 청소를 수행한다. 케어로봇 전문기업 라이노스가 AI 청소로봇 ‘휠리’에 독자적 개발 솔루션 ‘rEMS (Elevator Management System)’를 결합, 청소로봇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밝혔다.
온라인기사 2025-01-02
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부회장과 전영현 DS부문장 부회장이 2일 임직원에게 '2025년 신년사'를 사내 메일을 통해 전했다. 한종희 부회장과 전영현 부회장은 이날 공동명의로 발표한 신년사에서?초격차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재도약의 기틀을 다지고 새로운 성장동력을?확보해 나가자고 강조했다.
LG이노텍(대표 문혁수)이 2일 창립 55주년을 맞아 신규 비전을 발표했다. 국내외 23개 사업장, 2만여 명의 임직원에게 새해 인사와 함께 LG이노텍의 지속 성장을 위한 사업 방향과 목표를 담아 신년 영상 형태로 공유됐다.
삼성전자가 국내 대표 로봇 전문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주주 지위를 확보해 휴머노이드 등 미래로봇 개발을 가속화한다. 삼성전자는 2023년 868억원을 투자해 14.7%의 지분을 갖고 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보유 중인 콜옵션을 행사했다고 지난 31일 발표했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