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SK텔레콤(대표이사 유영상)은 차량과 보행자, 교통 인프라 등 모든 것을 5G로 연결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 시스템인 ‘C-ITS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실증사업 중 하나로 진행된 서울시 상암지역 자율주행차 시범운행 지구 확대 구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7일 밝혔다.
온라인기사 2022-06-27
질화갈륨(GaN) 전력 변환 제품 공급업체인 트랜스폼(Transphorm Inc.)이 GaN 기반 USB-C PD 전원 어댑터의 개발 속도를 높이기 위한 레퍼런스 디자인 7종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온라인기사 2022-06-24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전자 부품 제조사 비쉐이 인터테크놀로지(Vishay Intertechnology)로부터 전례 없는 올해의 유통기업 3관왕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뤘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이 고객과 함께 키워 나가는 성장형 AI 서비스인 ‘A. (에이닷)’의 iOS 오픈 베타 버전을 22일 앱스토어에 공개했다. 이제 아이폰 사용자도 에이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큐텔 와이어리스 솔루션(Quectel Wireless Solutions)이 통합 SIM(iSIM)을 지원하는 새로운 BG773A-GL 초소형 LTE Cat M1, NB1 및 NB2 모듈을 출시했다.
벨로다인 라이다(Velodyne Lidar)가 교통 데이터를 수집하고 도로 안전을 개선하기 위해 핀란드 헬싱키에 지능형 인프라 솔루션(IIS)을 배포했다고 발표했다.
온라인기사 2022-06-23
파이보콤(Fibocom)이 ‘임베디드 월드 2022(Embedded World 2022)’에서 고성능 GPGPU 및 에지 인공지능(AI) 컴퓨팅 솔루션 공급업체 애티나 코퍼레이션(Aetina Corporation, 이하 ‘애티나’)과 협력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로옴(ROHM) 주식회사는 자동차 엔진 컨트롤 유닛 및 FA 기기를 비롯하여, 안전을 위해 전자회로의 전압 감시를 필요로 하는 폭넓은 자동차?산업기기 어플리케이션용으로, 고정밀도?초저소비전류의 리셋 IC(Voltage Detector) 「BD48HW0G-C」를 개발했다.
몰렉스(Molex)가 업계 최초의 스태거 회로 레이아웃으로 기존 커넥터 제품에 비해 공간을 30% 절약하는 몰렉스 Quad-Row 보드-투-보드 커넥터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업계 최소인 0.56㎛ 크기의 픽셀 2억 개를 탑재한 이미지센서 ‘아이소셀(ISOCELL) HP3’를 공개하며, 초고화소 이미지센서 시장 선도에 나섰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가 7월 6일 (수) 오전 10시,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 ‘이노베이션 데이: 지속가능한 데이터센터 (Innovation Day: EcoStruxure for Data Center, Seoul 2022)’행사를 개최한다.
종합화학 기업 사빅(SABIC)은 누전과 화염전파 방지 성능을 향상시키는 전기 자동차(EV) 배터리 모듈용 절연 필름 소재로 최적화된 NORYL™ NHP8000VT3 수지를 출시했다.
마우저 일렉트로닉스는 오므론전자부품주식회사(Omron Electronic Components)로부터 2021 올해의 E-카탈로그 유통기업 상을 수상했다. 이로써 마우저는 이 상을 2년 연속으로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로데슈바르즈(Rohde & Schwarz)는 더욱 빠른 획득 속도와 진보된 신호 무결성 측정 기능으로 강화된 실시간 신호 분석 성능을 제공하는 차세대 R&S RTP 고성능 오실로스코프를 출시했다.
넥스페리아(Nexperia)가 전압 레벨 변환기인 NXT4557GU와 NXT4556UP를 기존의 제품 포트폴리오에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이 소자들은 휴대폰 가입자의 식별모듈인 SIM 카드를 차세대 저전압 휴대 전화 베이스밴드 프로세서와 원활하게 연결시켜준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