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세계적으로 유명한 맥주 축제 ‘옥토버페스트’를 떠올리게 하는 옥토버테크(OktoberTech™) 가 열렸다. 이 행사는 독일 기반의 글로벌 반도체 기업,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Infineon Technologies)가 개최하는 연례 행사이다. 인피니언 코리아는 22일, 서울 코엑스 오디토리움에서 OktoberTech™ Seoul 2025를 개최했다.
온라인기사 2025-05-22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권지웅)이 엣지 컴퓨팅 수요 확대에 대응해, 마이크로 데이터센터(Micro Data Center, MDC) 솔루션을 통해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을 보다 민첩하고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온라인기사 2025-05-21
에이디링크 테크놀로지는 자사의 신제품 EMP-520 시리즈 산업용 컴팩트 박스 PC가 임베디드 월드 2025에서 Computer Boards, Systems, Components & Peripherals 부문 최고상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이 제품은 혁신적인 설계, 사용자 중심의 기능, 산업 환경에서의 탁월한 성능으로 선정되었다.
이 글에서는 LTspice® 회로도에 전압 제어 스위치를 추가하는 데 필요한 작업들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과도(transient) 시뮬레이션에서 전압 제어 스위치를 사용하는 방법도 예제를 통해 설명한다.
DigiKey가 공개한 디지털 기술 포털은?최신 기술 트렌드에 대한 엔지니어 및 혁신가의 지식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APAC 지역에 맞게 현지화된 DigiKey 응용 및 기술 포털이다.
데카 테크놀로지(Deca Technologies)는 IBM과 캐나다 퀘벡주 브로몽에 위치한 IBM의 첨단 패키징 시설에 데카의 M-시리즈(M-Series™) 및 어댑티브 패터닝(Adaptive Patterning®) 기술을 구현한다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가 5월 23일 (금) 오후 2시부터 3시까지 국내 고객을 위한 ‘SIMATIC S7-1200 G2’ 웨비나를 개최한다. 이번 웨비나는 10년 만에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지멘스 차세대 소형 PLC인 SIMATIC S7-1200 G2의 국내 출시를 기념하여 고객 및 파트너를 대상으로 핵심 기능과 기술적 강점을 공유하기 위
온라인기사 2025-05-20
ABB는 AC 800M 계열 컨트롤러에 대해 최초로 환경성적표지(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 EPD) 인증을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ABB는 분산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는 산업용 컨트롤러에 대해 외부 EPD 인증을 받은 최초 기업이 됐으며,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2004년 독일 데겐도르프(Deggendorf)에서 설립된 콩가텍은 2021년 한국 법인을 설립하며 공식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 고성능 에이레디. 에코시스템을 통해 COM부터 클라우드까지 솔루션 개발 과정을 단순화하고 가속화하는데 이바지하고 있다는 평가다.
LG전자가?13년 연속 OLED TV 세계 1위를 향한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이 회사는 올해 1분기 글로벌 OLED TV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 약 52%의 압도적인 점유율로 1위의 위상을 더욱 굳건히 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올해 1분기 LG 올레드 TV 출하량은 약 70만 4,400대로 OLED TV 시장 점유율 52
엔비디아가 컴퓨텍스(COMPUTEX)에서 대만 슈퍼컴퓨팅 생태계 파트너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양자 컴퓨팅 기술을 ‘가속 양자 슈퍼컴퓨터’로 발전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양자 컴퓨팅은 인실리코(in-silico) 기반 신약 설계 확장부터 지금까지는 불가능에 가까웠던 복잡한 대규모 물류 최적화 문제에 이르기까지, 세계에
힐셔는 STM32-Nucleo 애플리케이션용 평가 보드인 netSHIELD 90-RE 제품을 새롭게 출시했다. 이 제품은?기존 netSHIELD 52-RE의 후속 제품으로, 아두이노 우노(Arduino Uno) 호스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Microelectronics)의 Nucleo-64 및 Nucleo-144 개발 보드를 모두 지원한다.
엔비디아(www.nvidia.co.kr)가 세계 최대 전자기기 제조업체인 폭스콘(Foxconn)이 데이터센터부터 엣지까지 엔비디아(NVIDIA) 기술을 사용해 스마트 병원 솔루션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 세계 의료 시스템은 2030년까지 약 450만 명의 간호사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주요 원인으로는 심각한 탈진이 지목된다.
엔비디아가 TSMC, 케이던스(Cadence), KLA, 지멘스(Siemens), 시놉시스(Synopsys)를 비롯한 반도체 업계에 엔비디아 쿠다-X(NVIDIA CUDA-X)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플랫폼을 지원해 반도체 제조를 발전시키고 있다고 밝혔다.
시장 조사 기관 머큐리 리서치(Mercury Research)가 발표한 2025년 1분기 x86 출하량 보고서에서는 이와 같이 밝혔다. 이는 클라우드와 엔터프라이즈 부문에서의 강력한 성장과 라이젠 채널 및 AI PC 노트북 수요에 힘입은 클라이언트 부문의 실적을 바탕으로 했다.
온라인기사 2025-05-19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