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글로벌 에너지관리 및 자동화 전문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는 서울 코엑스에서 5월 24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국내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전시회인 월드IT쇼에 데이터 센터 솔루션 파트너사인 케이엠파워와 공동으로 참가해 통합 전원 보호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온라인기사 2017-05-24
한정된 공간에서 모터 드라이브의 전력 밀도 2배 향상
TI는 모터 드라이브 애플리케이션에서 설계 공간과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디바이스 제품군 2종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초소형 3×2 mm 패키지로 23.9 dBm IIP3 제공
최근 리니어 테크놀로지를 인수한 아나로그 디바이스는 3~20 GHz의 업계 최고 매칭 대역폭 기능을 제공하는 더블 밸런스 믹서인 LTC5553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완전 맞춤형 제작 가능
전자 커넥터 분야의 세계적인 기업인 한국몰렉스(대표: 이재훈)가 자동차의 파워 스위칭 및 회로 보호를 추가하거나 재배치하고자 하는 고객사들에게 이상적인 μPDB 고객 맞춤형 방수 모듈을 선보였다.
온라인기사 2017-05-23
산업용 IoT 기능 강화한 ‘씽웍스(ThingWorx) 8’ 출시
PTC가 사물인터넷 환경의 개발과 구축, 서비스를 위한 최신 솔루션을 대거 선보였다. IoT에 증강현실, 인공지능을 더한 스마트 커넥티드(Smart Connected) 환경을 제공하고, 폭 넓은 파트너십을 통해 비즈니스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발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정확한 전력 사용 테스트 정보 제공
키사이트테크놀로지스가 에너지, 자동차 및 의료 디바이스 산업 관련 필수 애플리케이션에 통찰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드레인 분석 솔루션을 발표했다.
리니어 테크놀로지를 인수한 아나로그 디바이스는 최대 71W의 공급 전력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LT4294 IEEE 802.3bt PD(Powered Device) 인터페이스 컨트롤러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주택, 업무용 빌딩, 기타 설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모션 감지기는 지정된 구역에 사람이 있는 것을 감지했을 때 이를 알려준다.
온라인기사 2017-05-22
도시바가 개선된 탈포화 감지 기능의 스마트 게이트 드라이버 광접합소자 신제품 TLP5214A를 출시했다
온라인기사 2017-05-19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가 고속 복구 다이오드의 이점을 활용한 VHV(Very High-Voltage) Super-junction MOSFET인 전력 MOSFET MDmesh™ DK5를 선보였다.
ams와 프라운호퍼 IIS, 루드마이크로텍 간 협력 체결
ams는 자사의 파운드리 에코시스템을 더욱 확장한다고 CDNLive EMEA에서 발표했다.
오버츄어 테크놀로지스가 실생활에 사용되는 상호교류 로봇 소프트웨어에 주력하는 소셜 로보틱스의 선도업체 후마노와 제휴해 사물인터넷 및 로보틱스 영역을 위해 안전한 환경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배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 제품, 현재 판매되는 SDIP6(F타입) 패키지 제품과 직접 대체 가능
도시바 코퍼레이션 산하 스토리지/디바이스 솔루션 컴퍼니가 와이드 리드폼(Wide Leadform)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새로운 패키지 타입의 SO6L(LF4)을 통해 SO6L IC 광접합소자(Photocoupler) 라인업을 확대한다.
하이테라가 5월 16일 홍콩 아시아 월드 엑스포에서 열리는 2017 크리티컬 커뮤니케이션즈 월드(CCW: Critical Communications World) 전시회에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는 LTE-PMR 융합 솔루션을 정식으로 선보였다.
Enea(R)가 자사의 멀티코어 운영체제 Enea(R) OSE에서 Xilinx(R) Zynq(R) UltraScale+(TM)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온-칩(multiprocessor system-on-chip, MPSoC) 장치를 위한 새로운 보드 지원 패키지(board support package, BSP)를 발표했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