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제20회 한‧중 철강분야 민관협의회 개최
  • 2015-07-06
  • 편집부

- 철강산업 동향정보 교류, 양국간 통상마찰 예방 방안 등 논의 -

'15. 7. 3.(금), 서울에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중국 상무부와 공동으로 「제20회 한중 철강분야 민관협의회」가 열렸다.

2001년부터 매년 1~2회 열린 한․중 철강분야 민간협의회는 두 나라의 철강산업 동향에 대한 정보를 교류하고, 원만한 철강교역의 확대와 산업협력 증진을 위한 대화채널로서 역할을 수행해왔다.

이번 20차 회의에는 우리는 산업부 김종철 철강화학과장을 대표로 철강협회,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24명이 참석했다.

중국은 창후이(Chang Hui) 상무부 대외무역사 처장을 비롯한 공업신식화부, 주한중국대사관, 중국강철공업협회, 바오산강철, 안산강철 등 21명이 참석했다.

이번 협의회에서 한․중 양측은 철강산업 동향 정보를 공유하고, 두 나라의 철강분야 교역 증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특히, 우리는 올해 1월 1일부로 중국정부가 보론강 부가가치세 환급을 폐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열연강판의 경우 보론강 수출 증치세 환급이 유지되고 있으며, 후판․선재․철근 등은 크롬강으로 대체 수입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대책 마련을 요청했다

     * 열연강판 보론강 수출비중(%) : (‘12) 99.8 →  (‘13) 99.6 →  (‘14) 99.6 →  (‘15.1~4월) 99.4

또한, 최근 중국산 수입제품 가운데 규격 미달 또는 원산지 위․변조 사례로 인해 특히 국내 건설 관련 안전에 우려가 있다는 점을 전했다.

우리 정부는 한국산업규격(KS) 품질관리와 함께 국내 유통단계에 조사도 진행 중이므로, 중국 정부도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요청했다.

한편, 김종철 산업통상자원부 철강화학과장은 “이번 협의회를 통해 한․중간 철강교역에서 발생하는 애로사항 뿐만 아니라 양국 철강산업 전반의 상호 관심사항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는 계기였다.”하고 평가했다.

오일환 한국철강협회 부회장은 “이번 협의회를 계기로 일부 중국산 특수강에 대한 부가가치세 환급문제의 해결과 위조품 수입이 근절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