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중소·중견기업, 통상애로 해소하고 해외시장으로
  • 2015-06-25
  • 편집부

- 통상산업포럼 분과회의(중소·중견기업) 개최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와 한국무역협회(회장 김인호)는 ‘15. 6. 24.(수), 통상산업포럼 중소·중견기업 분과회의를 열고, 업계의 해외인증 획득 관련 애로를 해소하고, 해외진출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에 관해 논의했다. 

 * 통상산업포럼 분과회의: 산업-통상 연계 강화를 위해 ’13년 신설되어, 주요 업종별(23개 업종) FTA협상 전략 수립과 보완 대책 마련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

업계는 중국의 중국강제인증제도(이하 CCC)* 인증과 같이 까다로운 해외인증 요구가 급증하고 있지만, 중소·중견기업은 인증 획득에 필요한 자금과 전문인력, 정보가 부족하다는 호소를 해왔다.

    * CCC(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 전기용품, 자동차 부품, 장남감 등 적용 대상이 포괄적인 중국의 대표적 강제인증제도

정부 측은 업계의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며, 중소·중견기업들에게 제공하는 해외인증 지원 사업을 적극 활용할 것을 권장했다. 

이와 관련 중소기업청은 중국의 CCC인증을 포함, 241개 해외 규격인증에 대하여 획득비용의 50∼70%(최대 3000만∼5000만 원)를 지원하고 있으며,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에 대비해 시험·인증, 기술컨설팅 등을 제공하는 중국인증집중지원 프로그램도 신규로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 측은 1:1 상담회 제공, 네트워킹세미나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는 정상외교경제활용지원센터에 대해 소개하고, 중소·중견기업이 해외 진출 시 동 센터를 적극 활용하도록 주문했다.

정상회교경제활용지원센터는 경제외교활동이 실질적인 수출 및 투자 성과 창출 활동에 직결될 수 있도록 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상시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지난 달 28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 KOTRA)내에 설치했다.

회의를 주재한 김창규 통상정책국장은 중소·중견기업은 나라 경제의 허리라며, 중소·중견기업의 통상애로에 지속적으로 귀 기울기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선을 다 할 것을 약속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