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보안 시범사업'에 교통, 금융 보안 관련 등 5개 과제 선정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안전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보안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시범 적용하는 금년도 ‘융합보안* 시범사업’ 과제로 교통, 금융 보안 등에 관련된 5개 과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정보통신기술 융합산업에 보안기술을 내재화 또는 강화시켜 보다 안전하게 하는 기술(예) 스마트 카, 스마트 가전 관련 보안 등)
‘융합보안 시범사업’은「K-ICT 시큐리티 발전 전략」의 주요과제이자,「경제혁신 3개년 계획」중 ‘융합신산업육성’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주요 정보통신기술 융합서비스에 보안기술을 접목하여 안정성을 강화하고, 융합보안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금년「융합보안 시범사업」은 지난 4월 모집공고를 통하여 제안서를 접수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1차(서류), 2차(발표) 평가 등을 거쳐, 총 5개(차세대 ITS 등 교통 분야 2개, 금융 분야 1개, 산업제어시스템 분야 1개, 융합보안 관제 분야 1개)의 과제를 선정하였다.
교통 분야에서는, 펜타시큐리티시스템㈜이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및 스마트카 보안, ㈜시피에스가 교통신호제어기 관련 보안 기술을 개발하여, 현재와 미래 도로교통 인프라의 보안성이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차량이 도로인프라 또는 다른 차량과 서로 통신하여 주변 교통정보를 공유하고, 교통체계의 운영·관리를 자동화하여, 교통의 효율성,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교통체계
금융 분야는㈜비티웍스가 전자서명에 지문·홍채 등 생체인증을 적용하여 보안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전자금융거래 안전성 강화 및 핀테크 산업 활성화가 예상된다.
산업제어시스템 분야에서는 ㈜이글루시큐리티가 산업제어시스템에서 발생가능한 보안위협을 관리·통제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대형 산업단지와 국가기반시설의 보안위협 관리·통제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융합보안 관제 분야에서는㈜엠더블유스토리가 보안시스템 분석을 통한 기업 정보 등의 유출 시도를 차단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이를 도입하는 각 기업들의 시스템 해킹, 정보유출 시도 등에 대한 대응 역량이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정된 과제의 수행기관은 금년 12월까지 기술 및 서비스 개발 등을 추진하고, 추진과정에서 산·학·연 보안전문가에게 자문 및 기술지원을 받게 될 예정이다.
미래부 정한근 정보보호정책관은 “정보통신기술 융합 시대를 맞아 융합보안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면 융합산업이 더욱 안전하고 튼튼하게 발전해 나갈 것”이라며, “이번 시범사업을 통하여 융합보안 산업도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