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간 단축
복잡한 제어 캐비닛 제조업체가 어떻게 경쟁우위를 달성할 수 있었을까? 바로 ‘프로세스 자동화’이다. 독일 플렌스부르크에 위치한 빌핑거 그레이로직스(Bilfinger GreyLogix)는 EPLAN의 EEC One으로 설계작업하면서 회로도를 만드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반으로 줄이게 되었다.
그레이로직스는 650명의 직원을 두고 있는 자동화 기술 솔루션 설계 분야의 가장 큰 전문기업 중 하나다. 지난 15년 동안의 비즈니스에서 이 회사는 엔지니어링 전문성은 물론, 산업별로 특화된 노하우가 요구되는 대규모 자동화 기술 프로젝트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 회사의 설계 팀은 오일, 가스, 식품, 음료, 화학/제약 산업과 같은 각 특정 마켓 분야에 특화된 다양한 비즈니스 부서로 조직화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CAE 최고급 교육센터의 토마스 베셀(Thomas Besser) 팀 리더는 “우리는 어떠한 표준 프로젝트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러닝커브 또한 없다.”며, “이는 보다 중요한 전문성과 경험을 쌓게 해준다.”고 밝혔다. 이는 작업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프로그래밍은 물론, 전기 설계 및 수배전반 캐비닛 엔지니어링에도 적용된다.
그레이로직스는 항상 고도의 자동화를 필요로 한다. 토바스 베셀은 “우리는 프로젝트 및 프로세스 관리에서 강해져야 한다고 일찌감치 인지해 왔다. 우리는 보다 스마트하고 보다 지능적으로 작업함으로써 고객들에게더 많은 가치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이를 기반으로 작업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베셀(Thomas Besser, 좌측)은 “자동화된 설계 프로세스의 도움으로 프로젝트의 50% ~ 60%까지 생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EEC One(Eplan Engineering Configuration One)은 최근에 추가된 툴로 그레이로직스는 전기 엔지니어링을 위해 사용하고 있다. 이 소프트웨어는 액셀 인터페이스를 기반하여 회로도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에는 특별한 방식이 필요한데, 엔지니어가 전압과 같은 기본 파라미터들을 표에 입력한 다음, 개별적으로 구성된 리스트에서 ‘75kW 모터’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선택하고, ‘컨피규레이션’ 버튼을 누르면 배선도를 얻을 수 있다.
초기 작업의 성과
이 도면은 아직 개별적인 조정이 필요하지만, 좋은 근간을 제공하며, 상당한 시간을 절감할 수 있게 해준다. 토마스 베셀은 “이러한 자동화된 설계 프로세스의 도움으로 프로젝트의 50% ~ 60%를 생성할 수 있다. 엔지니어는 이제 남은 시간을 창의적인 작업에 몰두하는데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구성요소들과 구조는 미리 정의되어야 하지만, 노력은 필요하다. 이는 그레이로직스가 자사의 모든 사업부에 EEC One을 단계적으로 도입한 이유이기도 하다. 엔지니어는 자신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시스템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베셀은 “EEC One에서 모든 것을 처리할 필요는 없다. 즉, 엔지니어는 자신이 선택한 Eplan Electric P8에서 모든 장치 태그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자동화된 전기 엔지니어링에서 그레이로직스가 확인한 장점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위한 비슷한 컨셉의 도입을 현재 고려하고 있을 정도로 매우 크다. 베셀은 “시간 소모가 매우 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10% ~ 15%까지 추가로 제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제어 캐비닛 제조를 위해 그레이로직스는 물류창고 없이 이를 수행하고 있다. 가용한 구성 요소들은 칸반 시스템(Kanban System)에 따라 조립된다. 구성요소들이 생산 프로세스에서 소모됨에 따라 각 제어 캐비닛 패널은 특별히 제작된 어셈블리 카트에 배치되며, 유연성이 향상된다.
홀 전면에 있는 대형 플래닝 보드는 개별 제품들이 구성되는 현재의 사이클을 보여주며, 작업대에는 직원들이 있다. 자동화는 여기에서도 잘 진전되고 있으며, 박판금속공정은 키슬링(Kiesling)의 Perforex 가공 센터의 CAE 시스템, EPLAN Pro Panel에서 직접 수행된다.
EPLAN Pro Panel을 이용한 제어 캐비닛의 어셈블리 설계는 이 작업을 단독으로 맡고 있는 전문가에 의해 수행된다. 베셀은 “원래는 생산현장에서 3명의 동료들이 작업했었다.”며, “이들은 최상의 어셈블리 방법을 알고 있다. 엔지니어들은 설계를 넘기고, 초기 주문 및 배선도 출력 또한 담당한다.”고 설명했다.
고객 및 판매부서 모두 EPLAN Pro Panel에서 생성된 3D 레이아웃의 가치를 인정하고 있다. 그레이로직스는 엔지니어링 툴 선택에 있어 자사 고객들의 의사를 존중하고 있다. 베셀은 “우리는 9개의 각기 다른 ECAD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자체적으로 결정하는 경우 우리는 EPLAN을 선택한다. 또한 어셈블리 설계는 항상 EPLAN으로 수행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