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부·행자부, 제2회 정보화책임관 협의회 공동 개최
  • 2015-05-29
  • 편집부

- 부처간 정보화 업무 협업 강화 및 소통 활성화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와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 이하 행자부)는 2015년 제2회 ‘정보화책임관협의회’를 5월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공동으로 개최하였다.

‘정보화책임관협의회’는 정보화업무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각 부처 및 지방정부 정보화책임관이 정보교류 및 관련 정책을 협의하는 자리이며, 회의에는 중앙부처․광역시도․사법기관 정보화책임관 100여 명이 참석하였다. 
 
이날 협의회에서는, ‘2016년 국가정보화시행계획 검토결과(미래부)’ 및 ‘중남미 전자정부 시장개척단 추진(행자부)’ 등 정보화 관련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졌다.

- 정보화책임관협의회 주요 논의 내용 -

미래부는 국가정보화기본법에 따라 중앙부처‧입법‧사법기관 등 53개 기관이 수립하여 미래부로 제출한 ‘2016년도 상반기 국가정보화 시행계획’과 관련하여, 정보화예산이 체계적‧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시행계획에 포함된 사업의 타당성 및 사업간 연계‧중복성 검토결과를 설명하고, 각 부처의 관심과 협조를 부탁하였다.

부처별 의견 수렴을 거친 ‘2016년도 상반기 국가정보화 시행계획’ 검토 결과는 향후 기획재정부와의 협의를 거쳐 내년도 예산 편성의 자료로 활용된다. 

그리고, 인터넷주소 부족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사물인터넷․클라우드 등 신산업 촉진을 위하여 ‘공공부문 무제한 인터넷 주소(IPv6) 확산’에 대하여 각 기관에 설명하고 협조를 부탁하였다.

미래부는 정기적으로 공공기관 IPv6 전환실태를 점검하고, 각 기관에서 안정적으로 IPv6로 전환할 수 있도록 컨설팅, 기술훈련 및 신규장비의 안정적 도입을 위한 테스트베드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인터넷주소체계인 IPv4 주소가 약 43억개(232)인 반면, IPv6 주소는 2128(3.4×1038)개로 거의 무한대

행자부는 지난 4월 대통령 남미 순방에 이은 후속조치로서 올 하반기 중남미에「전자정부시장개척단」을 파견할 계획임을 알리고 각 부처별로 해외진출 희망시스템과 대상국가 조사, 시스템별 전문가 DB(관련기업과 부처 등의 담당자 정보) 보완 등과 관련하여 각 부처의 관심과 협조를 부탁하였다.

또한, 행자부는 이동․출장 중에도 실시간으로 안전하게 의사소통 및 정보공유를 할 수 있도록 ’14년에 개발한 공무원 전용 모바일메신저(바로톡)를 소개하였다.

바로톡은 ‘15년 5월까지 행자부 등 6개 기관을 상대로 시범서비스를 실시한 후, 중앙부처는 6월말부터, 광역지자체는 8월부터 본격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재유 미래부 제2차관은 “정보화책임관 협의회는 경제혁신과 창조경제를 위해 ICT 기술 및 정보화 성공사례를 공유하고 협업을 강화하는 장”으로 “각 기관이 정보화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미래부는 행자부와 함께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