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 무정전 전력공급을 위한 배전지능화 시스템 1단계 구축완료 기념식 개최
  • 2015-05-27
  • 편집부

‐ 배전지능화 시스템도입 후 연평균 호당 정전시간 약 30분→4분으로 단축
 ‐ 차세대 배전지능화 2단계 계획발표… 2030년까지 90% 지능화개폐기 운전 등

한국전력공사(사장 조환익)는 2015년 5월 27일(수) 한전 본사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전력산업과장, 한국전기공사협회장, 한국전기산업진흥회 부회장 등 산․학․연 관계자 200명이 참석한 가운데 「배전지능화시스템」 1단계 구축완료 기념식을 개최하여 배전지능화시스템 개발과 구축에 기여한 유공자 48명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 등의 포상을 하였다.

「배전지능화시스템」은 정전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약 1조3천억원의 경제적 이득 즉 사회적 정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고, 시스템을 자체 개발함으로써 약 1조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두는 등 국가경제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배전지능화 도입 전 고장에 의한 연평균 호당 정전시간은  30분에서 배전 지능화 도입 후 연평균 정전시간이 4분으로 약 87%단축되어 국민생활 편의 및 산업활동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날 행사에서 한국전력은 지금까지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차세대 배전지능화시스템」을 구축하는 2단계 사업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현재 운영중인 개폐기의 약 90%인 15만대를 지능화개폐기로 운전할 계획이며,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0.08초 이내에 분리하여 건전구간 전력공급선로를 개폐기단위로 구간을 분리하여 정전사고 발생시 사고발생 원인 구간을 제외한 구간에는 단 1초의 정전도 허용하지 않는 무정전 전력공급 시스템을 개발하여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4,710억 원의 사회적 정전비용과 4,890억 원의 회선신설 비용 등 약 1조원의 비용을 절감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전력 조환익 사장은 배전지능화시스템 개발 및 구축 사업에 참여한 중전기업체 대표자들에게 그 간의 노고를 치하하면서, “한국전력은 배전지능화 시스템과 브랜드를 활용한 중소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적극 지원하여 중소기업과 함께 상생해 나가는 생태계 조성에 적극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