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소재부품신뢰성기술확산사업」신규과제 160억원 지원 -
- 수혜기업 성과조사 결과, 매출 139%, 수출 251%, 마진율 6.6% 증가 -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윤상직)는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소재‧부품 신뢰성* 향상을 위해 160억 원 규모의 ‘신뢰성기술확산사업’ 신규과제 모집공고를 했다.
* 신뢰성이란 하나의 제품을 얼마나 고장 없이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는가를 정량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품질’에 ‘시간’이라는 요소를 포함한 개념
신뢰성기술확산사업은 기업들이 신뢰성 향상 인프라(인력, 장비 등)를 갖춘 전문기관(연구소, 대학 등)의 지원을 받아 소재‧부품의 신뢰성을 높여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의 수혜기업에 대한 성과조사 결과(‘14.3월), 지원 대상제품(군)의 매출과 수출이 크게 증가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올해 지원예산도 크게 확대*됐다.
* 지원예산: (’14년) 198억 원(신규 120억 원) → (’15년) 259억 원(신규 160억 원)
올해에는 기업들의 요청에 의한 기존의 ‘자유공모형’과 함께, 신뢰성 부족으로 수입 의존도가 높은 품목 등을 선제적으로 발굴하여 지원하는 ‘품목지정형’을 신설해 정책 효율성을 높이기로 했다.
무역역조품목 등 관련 통계 분석과 업계 수요조사를 통해 조사된 품목 중 전문가 검토를 거쳐 20대 유망 품목(붙임 3)을 도출하였으며, 과제당 지원규모도 ‘자유공모형’에 비해 확대(연간 5억 원, 최대 2년)된다.
소재부품도 사람과 같이 사용 환경에서 받는 스트레스로 인해 수명이 감소됨으로, 이에 대한 진단(고장분석)과 처방(신뢰성 향상)이 중요하다.
이런 중요성은 글로벌 수요기업들이 소재부품의 결함으로 인한 대규모 리콜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소재부품을 선택할 때 신뢰성을 필수 요소로 점검하고 있는 것에서도 알 수 있다.
* (일본) 도요타 가속페달 결함으로 238만대 리콜(’10년) / (미국) GM 파워스티어링 결함으로 8만여대 리콜(’15년)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신뢰성은 소재부품의 품격을 높여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질 좋은 성장에 기여하는 주요 수단이라고 강조하면서, 이번 사업을 계기로 국내 중소‧중견기업이 신뢰성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고 세계시장으로 진출하는 발판으로 삼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한편, 2015년 중점 지원방향 및 사업 참여를 위한 신청방법 등에 대한 ‘신뢰성기술확산사업 설명회’를 4. 21.부터 서울, 부산 등 5개 권역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신뢰성기술확산사업 지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 및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www.kiat.or.kr) 사업공고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