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IBM, 부산은행 통합 모바일 플랫폼 구축 추진
  • 2014-06-12
  • 편집부

- 부산은행과 MEAP 솔루션 ‘IBM 워크라이트’, 메시지 프로토콜 ‘MQTT’ 비롯해 소프트웨어 구축 서비스까지 토탈 솔루션 공급 계약 체결
- 멀티OS 모바일 환경으로 개발 비용과 시간 단축,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통합 관리 제공
- 전국 270개 지점 특화된 모바일 환경서 안전하고 정확한 메시지 송수신 실현 기대

한국IBM(대표 셜리 위-추이, www.ibm.com/kr)은 부산은행(은행장 성세환, www.busanbank.co.kr)의 통합 모바일 플랫폼 구축을 위해 자사의 MEAP(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솔루션인 ‘IBM 워크라이트(IBM Worklight)’와 메시지 프로토콜인 MQTT(MQ Telemetry Transport), 구축 지원을 위한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 토탈 솔루션을 공급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부산은행은 이번 계약 체결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통합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운영관리 효율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게 된다. 또 전국 270여 지점, 3,500여 명의 직원을 보유한 부산은행은 IBM MQTT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푸시시스템 도입으로 안전하게 중요 메시지를 송수신하고,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IBM KLAB연구소의 전문 구축 서비스 인력 투입으로 유지보수 환경 또한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IBM의 전문 서비스 팀이 부산은행 직원 교육과 기술 이전을 지원하고, 추후 부산은행 자체적으로 관리, 유지,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부산은행의 오남환 최고정보관리책임자(CIO)는 “IBM의 전문 기술을 이전 받아, 추후 발생할 수 있는 장애나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의 효과와 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고 밝혔다.

부산은행에 도입되는 ‘IBM 워크라이트’는 모바일 통합 포트폴리오인 ‘IBM 모바일퍼스트 (MobileFirst)’ 중 하나로 단일 소스를 통해 다양한 모바일 OS에 대응하는 모바일 앱을 신속하게 개발, 관리가 가능하고 보안 역량까지 강화된 통합 모바일 플랫폼이다.

한국IBM 소프트웨어그룹 홍기찬 상무는 “부산은행은 경남은행 인수 등 기업 성장에 따라 전략적이고 은행 자체적으로 모바일 비즈니스를 수행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필요로 했다”며, “한국IBM은 금융권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의 모바일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 역량을 기반으로, 부산은행이 성공적으로 모바일 혁신 전략을 수행하고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용어설명

-MEAP(Mobile Enterprise Application Platform;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다양한 기기와 네트워크, 이용자 그룹 등을 공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소프트웨어 개발 툴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작을 쉽게 해주는 솔루션이다.

-MQTT(MQ Telemetry Transport): 사물 인터넷 및 모바일에 적합한 양방향 통신 메시지 규약으로, 데이터의 안정적인 송수신 환경을 제공한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