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석하게도 이태백(이십대 태반이 백수)과 청년실신(대학 졸업 후 신용불량자가 되는 경우), 삼포세대(경제적인 이유로 연애와 결혼, 출산을 포기한 청년층) 등의 신조어가 낯설게 느껴지지 않는다. 장기화된 경기 불황은 사회 곳곳서 문제를 야기한 채 기업과 개인의 행복을 갉아먹고 있다. 경기 불황 여파는 청년 실업으로 이어져 국가 산업의 근간을 흔들고 있다.
![]() |
숭실대 이남용 교수
“우리나라 청년 실업이 약 250만 명에 달해 사회문제로 대두된 지 오래며,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하드웨어 중심의 로우-텍(Low-Tech) 경제 구조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하이-텍(High-Tech) 경제 구조로 혁신을 가속해야 할 것이다.” |
![]() |
연세대 이봉규 교수
“우리나라는 랩을 중심으로 콘텐츠-서비스-기기-네트워크를 연계한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
창조경제, 새로운 시장 창출 위해 다각도 지원
연세대 이봉규 교수는 IT 기반의 창조경제 구현 및 국가경쟁력 강화 방안이라는 발제로 발표를 이었다. 이봉규 교수는 “독일은 IMF 시에도 정부와 금융이 연계/지원해 일자리가 줄지 않았다”며 “우리나라도 랩을 중심으로 콘텐츠-서비스-기기-네트워크를 연계한 새로운 시장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ICT 정책의 재정립을 촉구했다. 그는 “SW 중소/벤처 육성을 강화해 신규 아이디어 및 신생 벤처기업 발굴과 이들이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력 육성 시급
현업에서는 인력 교육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LG CNS의 이철 상무는 “기업이 인력을 위한 내부 방법론을 만들지 못해 IT 회사의 80%가 인력장사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나라의 대기업 수는 약 150개로 7만 명이 근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 2,150개 기업에는 약 90만 명의 근로자가 있다. 90만 명의 근로자 중 20만 명이 유동 근로자로 한 회사에 적을 두지 않는 프리랜서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은 기업의 프로젝트에 따라 움직이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은 프로젝트만 낙찰받아 외주 인력을 충원해 이익을 얻는 우를 범하고 있다. 이철 상무는 “기업은 외주 인력을 투입해 단기간에 성과를 얻을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국가나 기업 모두에게 큰 손실을 준다”며 “기업은 자체적인 인력 교육으로 관련 프로젝트에 시너지를 불어넣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프로젝트 진행 시 콘텐츠 질보다 인력 수에 중점을 둬 안타깝다”며 “향후 정부에서는 이런 부문이 개선돼 정부나 기업, 개인이 상생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ES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