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마이, 2012년 2분기 인터넷 현황 보고서 발표
  • 2012-10-24
  • 편집부

아카마이가 2012년 2분기 인터넷 현황 보고서를 발표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주로 이용하는 네트워크 환경이 다른 경향을 보인다고 밝혔다.



이번 인터넷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아카마이가 6월 한달 간 아카마이 IO를 통해 모바일 브라우저 사용량을 조사한 결과,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안드로이드 웹킷을 통한 요청이 전체의 38%로 가장 많았지만, 와이파이를 포함한 모든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모바일 사파리가 60%에 가까운 점유율로 크게 앞섰다. 이를 통해 안드로이드 기반 디바이스 사용자는 셀룰러 네트워크 환경에서, iOS 디바이스 사용자는 와이파이 환경에서 더 많은 웹 브라우징 활동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아이패드 및 아이팟 사용자가 주로 와이파이를 활용해 웹에 접속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카마이 IO는 아카마이의 수많은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고객과 전세계 수백만 명의 엔드 유저의 플랫폼 사용 내용을 기반으로, 모든 연결 및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PC와 모바일 디바이스로 이뤄지는 브라우저 사용에 대한 초기 데이터 세트를 제공하며, 아카마이 인텔리전트 플랫폼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돕는 사이트다.

지난 6월 6일 시작된 ‘월드 IPv6 런칭(World IPv6 Launch)’에 참여한 아카마이는 이번 보고서에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시켰다. 연간 변화를 살펴보면, 고유 IPv6 주소를 통해 콘텐츠에 접근을 요청한 수는 전년 동기 대비 67배 증가했으며, 유동 IPv6를 통한 콘텐츠 요청 수는 460배 늘었다.
이번 보고서에서 전세계 180개국의 고객 기반과 1,000개 이상의 2G, 3G 및 4G 네트워크를 통해 에릭슨이 관찰한 모바일 트래픽 데이터 조사 결과에 따르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양은 지난 분기 대비 14%, 전년동기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관찰됐다. 특히, 서로 다른 화면 해상도 및 크기를 갖춘 안드로이드 디바이스 사용자가 이용하는 월간 트래픽 양을 조사한 결과, 화면 크기가 크고 해상도가 높을수록 평균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면이 크거나 해상도가 높을수록 보다 높은 품질의 비디오 클립을 더욱 긴 시간 동안 시청하는 등 트래픽이 높은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자주 사용하는 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경향은 데이터 플랜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거나 TV 스트리밍을 무료로 시청할 수 있는 환경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한편, 이번 분기에는 총 188개국에서 공격 트래픽이 발생했으며, 중국이 전체 공격 트래픽의 16%를 유발하며 지난 분기에 이어 공격 트래픽 근원 1위 국가가 됐다. 한국은 이번 분기 전체 공격 트래픽의 2.1%를 유발, 지난 분기 4.3%로부터 점유율이 크게 감소했으며, 공격 트래픽 근원지 상위 10개국 중 가장 큰 하락세를 보였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