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고객과 파트너의 AI 전략 실행 지원…업무 시간 절감과 매출 증대 실현
마이크로소프트가 전 세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자사 AI 비즈니스 솔루션, 클라우드 및 AI 플랫폼, 그리고 보안 기술을 활용해 가시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이룬 고객 사례를 공개했다.
AI가 전 세계 조직의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IDC가 발표한 ‘2025 CEO 우선순위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CEO의 66%는 생성형 AI를 통해 운영 효율성과 고객 만족도 개선 등에서 측정 가능한 성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IDC는 또한, 기업이 AI에 1달러를 지출할 때, 전 세계 경제에서 평균 4.9달러의 부가가치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과 파트너가 'AI 퍼스트(AI-first)' 전략을 중심으로 비즈니스 전략을 재편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직원 경험 강화 ▲고객 경험 혁신 ▲비즈니스 프로세스 재설계 ▲혁신 가속화 등 네 가지 핵심 영역에서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다. 현재 포춘 500대 기업의 85% 이상이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솔루션을 도입해, 이러한 변화를 실현하고 있다.
메르세데스 벤츠(Mercedes-Benz)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Microsoft 365 Copilot), 팀즈(Teams), 인튠(Intune) 등을 차량 운영체제에 통합해 차량을 업무가 가능한 이동형 생산성 공간으로 전환하고 있다. 운전자는 음성 명령으로 이메일을 요약하고, 일정을 확인하며, 화상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 특히 기업 고객들은 사무실 수준의 보안 환경에서 업무용 계정과 앱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어 이동 중에도 효율성과 연결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됐다.
아르헨티나 금융기관 방코 시우다드(Banco Ciudad)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 코파일럿 스튜디오(Copilot Studio), 애저(Azure)를 도입해 연간 약 2,400시간의 업무 시간을 절감했다. 특히 콜센터에서는 애저 AI 서비스(Azure AI Services)를 활용한 감정 분석(Sentiment Analysis)을 통해 매월 1만?4,500달러의 비용을 절감했으며, 전체 AI 도입에 따른 월간 절감 효과는 약 7만?5천달러에 이를 것으로 자체 전망했다.
호주 커먼웰스은행(Commonwealth Bank)은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과 깃허브 코파일럿(GitHub Copilot) 도입과 함께 AI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해 직원 효율성과 의사 결정력을 강화하고 더 안전한 맞춤형 뱅킹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 1만명 중 84%는 코파일럿을 필수 업무 도구로 평가했으며, 깃허브 코파일럿의 코드 제안 채택률도 약 30%에 달했다.
멕시코 웰니스·뷰티 기업 셸로 나벨(Sheló NABEL)은 다이나믹스 365(Dynamics 365)를 도입해 실시간으로 시장 인사이트를 얻고 400개 이상의 제품에 대한 수요 예측을 최적화했다. 여기에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활용해 고객 서비스와 운영 효율성도 향상시켰다. 그 결과 매출은 17% 증가하고, 보고 프로세스 속도는 5배 향상됐다.
사우디아라비아 기술 및 통신 기업 유니포닉(Unifonic)은 급격한 성장에 따른 대규모 하이브리드 인력 관리와 보안 및 컴플라이언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365 E5(Microsoft 365 E5) 및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을 기반으로 업무 자동화와 데이터 보호 체계를 구축했다. 그 결과 감사 소요 시간은 85% 단축됐고, 보안 관리를 하루에2시간 절감하며, 고객 데모 설정 시간도 15% 줄었다. 이를 통해 연간 약 25만 달러의 비용 절감 효과도 거뒀다.
그리스의 자격 인증기관 피플서트 헬라스 AE(PeopleCert Hellas AE)는 코파일럿 스튜디오와 애저 오픈AI 기반 AI 챗봇 서티팰(CertyPal)을 도입해 고객 만족도를 142% 높였다. 특히 고객의 최초 문의만으로 문제를 해결한 비율도 61% 증가했다.
애저 인프라 기반 AI 혁신
프리미어리그(Premier League)는 애저 오픈AI(Azure OpenAI), 애저 AI 파운드리(Azure AI Foundry), 코파일럿 등을 기반으로 ‘프리미어리그 컴패니언(Premier League Companion)’을 개발해 팬 경험을 혁신했다. 웹과 모바일 앱을 통해 제공되는 이 솔루션은 30년간의 경기 기록, 30만 건의 기사, 9천여 개의 영상을 자동 정리·번역·개인화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 세계 18억 명 이상의 팬이 구단과 선수 정보를 더욱 쉽고 몰입감 있게 접할 수 있게 됐으며, 팬과의 연결성도 강화됐다.
스탠포드대학병원(Stanford Medicine)은 애저 AI 파운드리를 활용해 의료 AI 에이전트 관리 솔루션을 구축했다. 이 솔루션은 종양 위원회를 지원하는 AI 에이전트를 배치해, 임상 노트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수집·정리하고 종합 보고서를 생성한다. 이를 통해 의료진들은 더 효율적으로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됐다.
미국 법률 소프트웨어 기업 어셈블리 소프트웨어(Assembly Software)는 애저 AI 파운드리를 기반으로 법률 업무 전반을 자동화하는 생성형 AI 솔루션 네오스AI(NeosAI)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수작업에 의존하던 문서 작성 시간은 최대 40시간에서 수 분으로 단축됐으며, 사례당 최대 25시간의 업무 시간을 절감해 로펌들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사건을 수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스웨덴 제조기업 허스크바나 그룹(Husqvarna Group)은 공장 네트워크와 공급망, 유통 채널 현대화를 위해 애저 아크(Azure Arc), 애저 IoT 오퍼레이션(Azure IoT Operations), 애저 오픈AI 등 애저 통합 솔루션을 도입,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시스템을 통합하고 실시간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체계를 마련했다. 이로써 데이터 배포 시간은 98% 단축되고, 인프라 이미지 구축 비용도 50% 절감됐다.
미국 금융기관 멤버스 퍼스트 연방 신용조합(Members 1st Federal Credit Union)은 애저 기반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구축해 조합원들에게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고 머신러닝 모델 실행 시간을 89% 단축했다. 애저SQL, 애저 데이터 팩토리(Azure Data Factory), 애저 데이터브릭스(Azure Databricks)를 활용해 분산되고 사일로된 데이터를 추출, 기록, 중앙화해 최신 데이터 레이크하우스에 저장했다.
일본 IT 기업 NTT 데이터(NTT DATA)는 직관적이고 확장 가능한 AI 기반 데이터 접근과 분석을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패브릭(Microsoft Fabric)과 애저 AI 파운드리 기반 AI 에이전트를 구축하고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추출하고 다룰 수 있는 대화형 플랫폼을 구현했다.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신규 솔루션의 출시 기간도 50% 단축했다.
우크라이나 에너지기업 DTEK의 YANSO 는 애저 오픈AI서비스와 애저 AI 서치(Azure AI Search) 기반 AI 어시스턴트를 도입해 하루 300건 이상의 고객 문의에 대한 평균 응답 시간을 4.5분에서 3.5분으로 단축했다. 이를 통해 모든 문의의 약 80%를 자동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독일 로봇 기업 쿠카(KUKA)는 애저 AI 파운드리 모델과 애저 AI 서치를 기반으로 iiQWorks.Copilot을 개발해 자연어 기반 코드 생성과 워크플로우 시뮬레이션을 구현하며 단순 작업 프로그래밍 속도를 최대 80%까지 높였다. 쿠카는 이 솔루션을 통해 로보틱스 도구와 자동화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해 배포 속도와 안전성을 높이고 다양한 팀과 환경에서 산업용 로봇의 활용성을 확대했다.
보안을 최우선으로 안전한 AI 및 클라우드 환경 구축
글로벌 동물의약품 기업 엘랑코(Elanco)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E5, 디펜더(Defender), 인튠(Intune), 시큐리티 코파일럿(Security Copilot)을 통합한 안전하고 확장 가능한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90개국에 걸친 IT 운영을 간소화하고 보안 대응 시간을 약 50% 단축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컨군(Kern County)은 정부용 마이크로소프트 365(Microsoft 365 Government)의 퍼뷰(Purview)를 도입해 데이터 보호체계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1,300만 개 이상의 파일을 분류해 민감성 라벨을 적용하고 월 3,000건 이상의 데이터 유출 방지 경고를 보냄으로써 약 100만 달러 규모의 리스크 완화 및 규정 위반 비용을 절감했다.
체코의 호텔 IT 기업 뮤즈(Mews)는 마이크로소프트 센티넬, 디펜더 포 클라우드(Defender for Cloud), 엔트라ID(Entra ID), 시큐리티 코파일럿을 도입해 실시간 모니터링, 위협 대응 자동화, 가시성 중앙화 등 클라우드 전반의 위협 대응 체계를 고도화했다. 이를 통해 사고 대응 시간을 몇 시간에서 수 분으로 단축하고, 엄격한 규제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보안 역량을 확보했다.
미국 퓨리턴 생명보험사(Puritan Life Insurance Company of America)는 애저 기반 디지털 연금 가입 플랫폼 ‘캔버스 애뉴어티(Canvas Annuity)’를 출시해 2018년 대비 2024년 연간 보험료 수익을 700% 증가시켰다. 이 플랫폼은 디펜더 포 클라우드 기반의 보안 인프라를 통해 멀웨어 공격과 위협 탐지, 효율적인 보안 관리, 간편한 규제 준수, 재무 및 정보 보안 감사를 제공하며, 현재 연간 보험료 수익의 75%를 담당하고 있다.
저드슨 알소프(Judson Althoff) 마이크로소프트 수석 부사장 겸 CCO(Chief Commercial Officer)는 “AI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해 비즈니스를 차별화하고 리더가 될 수 있는 기회는 바로 지금”이라며,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과 파트너가 AI를 통해 개인과 조직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기술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이들이 단순한 AI 도입을 넘어 혁신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전략을 재정립하고, 프론티어 기업으로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함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