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문] 10명 중 약 7명 “AI 번역기 사용”…89.2%는 “AI 번역 서비스 계속 활용할 것”
  • 2025-07-14
  • 신윤오 기자, yoshin@elec4.co.kr

딥엘, 국내 직장인 대상 AI 활용 실태조사 결과 발표…정확하고 뉘앙스 반영된 번역 선호

딥엘(DeepL)이 국내 직장인 AI 번역 도구 활용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마케팅, IT, 법조계 등 전 산업군 직장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설문은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AI 번역 솔루션 사용 현황 ▲커뮤니케이션 과제 ▲언어 AI에 대한 인식을 다각도로 조명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7.6%가 이미 업무에 AI 번역 도구를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이를 통해 ▲시간 절약(91.7%) ▲비용 절감(89.6%) ▲업무량 감소(89.9%) 등 실질적인 효과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사용 계획에 대해서도 89.2%가 “AI 번역 서비스를 계속 활용할 예정”이라고 답했으며, 86.8%는 “사용 비중을 확대할 계획이 있다”고 예측했다.

번역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74.9%로 나타나, 단순히 속도 외에 정밀도와 정확한 문맥 이해도를 갖춘 번역 솔루션에 높은 선호를 드러내며 도메인 특화 AI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또한 이번 설문을 통해 직장 내 다양한 AI 도구 사용 현황도 함께 조사됐다. 국내 직장인 사이 가장 많이 활용되는 AI 도구는 ▲범용 AI(88.4%)였으며, ▲AI 번역기(67.6%) ▲AI 회의 요약 도구(26.6%) ▲AI 글쓰기 도우미(17.2%) ▲이미지 생성 도구(13.2%)가 그 뒤를 이었다. 해당 결과는 AI 번역기가 이미 국내 직장인들에게 널리 채택되는 특화형 AI 솔루션으로 자리매김 했음을 보여준다.

“번역 오류는 운영 비용과 직결”

기업 입장에서 번역은 생산성을 넘어 매출, 일정, 고객 신뢰도와 직결되는 중요한 리스크 요인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46.7% “번역 오류로 인해 자사 제품 또는 서비스 질 저하 경험” ▲응답자 35.8% “해외 파트너와의 소통 문제로 프로젝트 지연 경험” ▲응답자 31.4% “언어 오해로 인해 비즈니스 기회 손실 경험” - 특히 생산·기술·현장직에서 높은 비율(45.0%) 등이다. 

“속도보다 품질”: 국내 직장인들, 그 중에서도 MZ세대 및 고객 응대·현장 직무 종사자는 AI 번역기 선택에 있어 정확성과 문장의 자연스러움을 속도보다 중요하게 여겼다.

AI 번역기를 선택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기준으로는 대다수 응답자가 정확성(82.2%)과 문장 자연스러움(73.7%)을 답변 - 속도(34.6%)는 정확성과 문장 자연스러움에 이어 세번째이다. 

“AI 번역기는 어시스턴트이자 동료”: 국내 직장인들은 평소 AI 번역기를 인간의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도구로써 인식한다고 답변했다. ▲응답자 75.4% “AI 번역 서비스는 자신의 기존 업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된다고 답변 ▲응답자 89.2% “향후 업무에서 AI 번역기 서비스를 계속 사용할 계획” 등이었다. 

딥엘의 스티브 로터(Steve Rotter)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한국의 언어 AI 사용자들은 단순 얼리어답터 수준에 그치지 않고, 커뮤니케이션의 정확성과 문화적 맥락 이해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요구하는 가장 안목 높은 고객”이라며, “이러한 수요야말로 딥엘이 설계된 이유이자 존재 의미”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 시장은 전략적 핵심 지역 중 하나이며, 현지 고객에게 탁월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  홈페이지 보기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