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심코리아, 개별 설계에 비해 100배 더 작은 단일 칩 AISG 준수 트랜시버 선보여
  • 2010-01-15
  • 편집부

  맥심코리아(지사장 김현식)는 완전 통합 AISG 준수 트랜시버 MAX9947을 출시했다. 이 단일 칩 솔루션은 개별 솔루션에 비해 100배 더 작은 3mm x 3mm TQFN 패키지에 송신기, 수신기 및 능동 필터를 통합하고 있다. 또한 트랜시버는 Autodirection 출력으로 송신탑 장착 장비에서 RS-485 버스 조작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어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필요 없다. 고집적 MAX9947 소자로 AISG 준수 기지국 및 송신탑 장착 장비의 구현이 간소화된다.

  데이터 집약적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에서 요구되는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3세대 (3G) 무선 네트워크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인프라 개발에는 많은 비용이 들고 서비스 이용가능 범위는 일부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테나 인터페이스 표준 그룹(AISG)에서는 인텔리전트 안테나 시스템을 구현하는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AISG 규격은 디지털 원격 제어 및 무선 인프라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므로 변화하는 서비스 범위 요구사항에 맞추어 네트워크를 동적으로 최적화할 수 있다.
  이러한 개방 표준은 인프라 투자를 보호하면서 특허 솔루션에 대한 부담을 없앰으로써 통신 회사에 의해 빠르게 채택되었다. 결과적으로 기지국 및 안테나 제조업체는 제품 계획에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표준화된 기술 로드맵으로부터 많은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
  AISG 트랜시버는 다양한 부품과 방법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여기에는 능동 또는 수동 필터, 다양한 OOK 변조 및 복조 방법, 버스 조작을 위한 로직, 증폭기를 포함해 일부 경우에는 ADC가 사용된다. 각각의 트랜시버 구현은 서로 다른 구조를 사용하여 AISG 규격을 달성하기 때문에 안테나 및 기지국 OEM 업체들은 이렇듯 다양한 트랜시버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보드 레이아웃을 유지해야 한다.

  트랜시버가 마이크로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가 있는 기지국과, 이 중 어느 하나도 내장되지 않는 송신탑에 탑재된다는 사실이 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소자가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어 하에서 동작하거나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 지점 간의 모든 통신은 버스 조작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요건으로 인해 시스템 설계자는 기지국과 송신탑 장착 장비에 서로 다른 트랜시버 모듈을 사용해야 한다.
  MAX9947은 업계 유일의 단일 칩 AISG 준수 트랜시버이다. 이 소자는 송신기, 수신기 및 능동 필터를 통합하고 있어 개별 솔루션의 복잡함과 높은 비용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AISG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크게 줄여준다. 송신기에는 OOK 변조기, AISG 스펙트럼 방사 프로파일을 만족하는 대역통과 필터 및 출력 증폭기가 내장되어 있다. 수신기에는 200kHz의 좁은 대역폭으로 약 2.176MHz 중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대역통과 필터뿐 아니라 OOK 복조기, 디지털 신호를 재구성하는 비교기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Autodirection 출력으로 송신탑 장착 장비에서 RS-485 버스 조작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어 마이크로컨트롤러가 필요 없다.
MAX9947의 주요 기능으로는 ▲50Ω에서 -15dBm~+5dBm의 넓은 입력 동적 범위를 제공하는 수신기, ▲저항으로 조정 가능한 출력 전력(+7dBm~+12dBm)으로 외부 회로 및 케이블링 손실 보상 가능, ▲AISG 준수 출력 방사 프로파일, ▲Autodirection 출력으로 마이크로컨트롤러 필요 없이 송신탑 장착 장비에서 버스 조작 가능, ▲AISG 프로토콜 준수 대역통과 필터, 중심 주파수 약 2.176MHz이다.

MAX9947은 소형, 3mm x 3mm, 16핀 TQFN 패키지로 제공되며 -40°C ~ +85°C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동작한다. EV 킷을 이용하여 설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재용 기자(
hades@cyberes.co.kr)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홈페이지 보기
  •  트위터 보기
  •  페이스북 보기
  •  유투브 보기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