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3강경영’으로 본격 성장 나선다
  • 2012-08-13
  • 편집부

SK그룹의 일원이 된지 6개월을 맞은 SK하이닉스가 본격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 지난 2월 14일 SK그룹으로 편입된 SK하이닉스는 6개월 동안 보다 적극적인 경영활동을 통해 경영실적 및 재무구조를 개선했다. 또한, 첨단 기술을 보유한 해외업체 인수 및 제휴 등 다양한 전략을 전개하며 차세대 사업역량 강화를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이런 변화에는 SK그룹 최태원 회장의 ‘3강 경영’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평가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를 인수한 뒤 강력한 리더십, 강력한 성장전략, 강력한 스킨십 등 3가지 전략으로 성장을 견인했다.
우선 최 회장은 ‘강력한 리더십’으로 SK하이닉스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했다. 최 회장은 인수가 완료된 직후 이사회에서 “SK하이닉스를 더욱 더 좋은 반도체 회사로 반드시 키워 나가겠다”며 신속하고 일관성 있는 사업추진을 약속했다.
특히, 올해는 전년 대비 20%가 늘어난 4조2000억원의 투자를 결정해 주주협의회 체제하에서의 소극적 경영을 벗어나 적기에 과감한 투자가 가능할 수 있도록 투자 규모를 늘렸다.
SK하이닉스는 이를 바탕으로 20나노급 D램 및 20나노 낸드플래시로 미세공정 전환을 가속화해 해외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기술력을 확보하고 원가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지난 6월 준공된 M12라인의 신규가동을 통해 IT기기의 모바일화와 고용량화 등에 따른 메모리반도체의 꾸준한 수요증대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됐다.
SK하이닉스는 올 2분기 매출액 2조6320억원, 영업이익 230억원을 기록했다. 인수 전인 2011년 3분기부터 이어진 영업손실을 단번에 흑자로 전환시켰다. 이런 성과는 적자를 이어가고 있는 해외 경쟁사들의 경영상황과 크게 대비된다.
최 회장은 SK하이닉스 인수 이후 ‘강력한 성장전략’으로 중장기 경쟁력을 강화시켰다. 최 회장은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성장에 한계가 있다. 움츠러들지 말고 한 발자국 더 내디뎌야 한다”며 선진기술력 확보를 독려했다.
구체적인 밑그림은 신설된 ‘미래전략실’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지난 6월 IBM과 차세대 반도체인 PC램 공동개발 제휴를 필두로, 이탈리아 낸드플래시 개발업체인 아이디어플래시를 인수해 ‘유럽기술센터’로 전환 설립함으로써 미국∙일본∙대만에 이어 유럽에도 R&D 거점을 확보했다. 같은 달 낸드플래시 컨트롤러 분야에서 독보적 기술력을 가진 미국의 LAMD사를 인수한 뒤 낸드플래시 응용복합제품 시장을 향한 전략 구체화에도 나섰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