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쇼날인스트루먼트, 아인슈타인 상대성이론을 뒤집는 실험결과?
  • 2012-05-16
  • 편집부

뜻밖의 실험 결과가 나왔다. 이 실험 결과는 OPERA(Oscillation Project with Emulsion-tRacking Apparatus) 실험을 수행했던 이탈리아 Gran Sasso 국립실험실(LNGS)에서 실제 발생한 일이다. OPERA 실험 팀은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뉴트리노)의 운동을 관측했다. 빛은 우주에서 가장 빠른 존재이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의 근간이 되는 개념이다. 매우 조심스러운 관측 결과를 공개하면서 다른 과학자들의 의견을 수용한다는 자세로 후속 관측과 분석 작업이 다시 진행 중이다. 만약, 그 결과가 실제로 검증된다면 물리학의 법칙을 완전히 뒤집을 것이다.
브릭 어셈블리 머신은 인간형 로봇을 사용하여 브릭을 형성할 필름과 연판을 쌓았다. 이 초기 설치 시에는 어떠한 머신 비전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차범위 50μ 이내로 정확하게 정렬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NI 얼라이언스 파트너인 ImagingLab은 필요한 정확도를 달성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ImagingLab은 각 필름의 잔류 위치 오류를 기록하는 것뿐만 아니라 조립 동안 로봇에 수정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는 머신 비전 시스템에 브릭 어셈블리 라인을 새로 장착하도록 했다. 이 이미징 시스템은 크기가 소형이고 50μ를 초과하는 분해능으로 기계적 안정성도 뛰어나야 한다. 사진 필름을 사용했기 때문에 ImagingLab은 필름을 망칠 수 있는 일반적인 조명 대신에 유화 연판 외부에 근적외선 조명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 시스템은 NI CVS-1454 장치 5대와 10대의 FireWireⓇ CCD 카메라를 사용하며, 이 소프트웨어 개발은 NI LabVIEW 소프트웨어와 IMAQ 라이브러리를 기반으로 한다. 초기 테스트에서는 자동화 검사를 위해 NI Vision Assistant와 NI Vision Builder를 사용했다. 이 자동화 시스템은 OPERA 탐지기 조립 시에 배포되었고 오차범휘 50μ 이내로 정확히 정렬시키는 목표를 성공적으로 충족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한국 내쇼날 인스트루먼트로 문의하세요.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홈페이지 보기
  •  트위터 보기
  •  페이스북 보기
  •  유투브 보기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