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빠르고, 경제적이며, 더 높은 민첩성으로 애플리케이션 공급 위해 기업에서 SDN, SD-WAN 도입 확산
조사대상자 3/4 이상은 “SDN을 염두에 두거나 구현하고 있다”라고 응답
약 1/3은 SD-WAN 구현이 IT혁신에 중요하다”고 응답
애플리케이션 성능 혁신 기업인 리버베드 테크놀로지(한국지사장 김재욱)는 VMworld 2015에서 행사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바탕으로 흥미로운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SDN과 SD-WAN등 기업 네트워킹 혁신제품을 현재 도입 중인지 또는 향후 계획하고 있는지에 대한 설문에서, 조사 대상자의 77%는 자사의 데이터센터에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솔루션(SDN)을 어느 정도 활용하고 있다고 응답했고, 이 중 13%는 이미 SDN을 구현했다고 밝혔다.
또한 응답자 중 29%는 원격지에 이와 유사한 아키텍처(SD-WAN)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고, 이 중 약 5%는 SD-WAN 솔루션을 이미 실행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이러한 결과는 SD-WAN이 원격지 및 지점 사무소의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으로 떠오름에 따라 데이터센터에의 SDN 도입에 기업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설문 결과, 네트워킹에 소프트웨어 정의 방식의 도입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동인으로 첫째, 새로운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보다 신속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으로 조사되었다.(71%의 응답자가 가장 중요하다고 밝힘). 둘째는 비용 절감이며 (69%), 세번째로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구현할 때 실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68%).
리버베드 테크놀로지의 스틸헤드와 스틸퓨전 사업부를 총괄하는 폴 오파렐(Paul O’Farrell) 선임 부사장은 “리버베드가 실시한 ‘소프트웨어-정의 조사’ 결과를 보면 복잡성이 증대되고 있는 지금의 하이브리드 IT환경에서, 기업들이 분산된 기업 전체에 걸쳐 완벽한 가시성을 확보하고 애플리케이션을 공급할 수 있는 더 나은 방식을 찾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SaaS 애플리케이션이 확산되고, 대역폭에 대한 요구도 커지면서 기존의 전통적인 WAN 접근 방식으로는 사업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며, “SD-WAN의 부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하이브리드 네트워크와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상태로 안전하게 전달 가능하며, 비용 절감, 속도 및 민첩성 개선, 그리고 관리 간소화까지 보장받을 수 있게 되었다”라고 덧붙였다.
폴 오파렐 선임 부사장은 아울러, “조사 결과를 보면 지금은 SDN과 SD-WAN의 초창기에 불과하지만 향후 3-5년 동안 많은 기업들이 SD-WAN 솔루션으로 기존의 지점 네트워킹 솔루션을 대체할 것이 자명하다”라며, “ 리버베드는 과거 수 년간 제품을 진화시키면서 이러한 신규 시장에 대응해왔고, 향후 더 많은 R&D자원을 투자하여 데이터센터에서 지점, 클라우드에 이르기까지 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최적의 네트워크를 통해 탁월한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제공하는 데에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에 발표된 리버베드 조사는 VMworld 2015 컨퍼런스 현장에서 평균 직원수 2,300명 규모의 중견 기업에 종사하는 다양한 직급의 참석자 26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더 자세한 정보와 조사 결과는 http://rvbd.ly/1JC3MT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