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바, PCIe SSD의 3개 제품군 발표
  • 2015-08-13
  • 편집부

- 도시바의 새로운 NVMe, PCIe SSD 제품 라인, 저지연 특성과 전력 효율을 높이는 특성으로 SSD의 성능 향상

도시바 코퍼레이션(Toshiba Corporation, http://goo.gl/UDmjza)(도쿄증권거래소: 6502)의 반도체 및 저장장치제품부문이 오늘 고성능 노트북PC, 박형 노트북PC, 투인원(2-in-1) 전환 가능한 노트북PC 및 태블릿PC를 포함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용 NVMe™(불휘발성 메모리 익스프레스)기술을 채용한 PCIe®(주변소자 상호연결 익스프레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의 3개 제품군을 발표했다.

이들 3개 SSD제품군은 모두 고성능 및 저지연에 최적화하고 프로세서의 점-대-점을 연결하는 PCIe인터페이스를 채용하여 시스템의 병목현상을 줄여 준다. 각SSD제품군은 해당 부문 애플리케이션의 용량, 형태 및 보안 기능 등에 맞게 디자인되었다. 도시바 NVMe, PCIe SSD최신 제품 라인의 샘플 제품은 올해 4분기(10~12월)부터 출시할 예정이다.

이 스마트 보도자료는 멀티미디어를 제공한다. 전체 보도자료 내용은 아래 링크 참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50811005507/en/



고성능 노트북PC: SSD의 XG3제품군은 M.2형2280 규격의 업계 최고 용량[1](1024GB)[2]의 클라이언트 NVMe SSD로서 고성능 노트북PC, 투인원PC 및 올인원(all-in-one) PC에 최적화하여 디자인했다. M.2형 2280규격의 XG3 SSD는 최대 인터페이스 대역폭이 SATA 6Gb/s[3]의 6배 이상 되는 PCIe 3.1의 4개 레인을 지원한다. 또 XG3 SSD는 2.5인치SATA익스프레스 규격으로 된 업계 최초의 NVMe SSD이다.

XG3 SSD제품군은 매우 효율적인 오류 보정 코드(ECC)인 도시바 고유의 QSBCTM(Quadruple Swing-By Code[4중 스윙바이 코드])오류 보정 기술을 적용하여 고객의 데이터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도시바 SSD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며 수명을 연장시킨다. 또한 XG3 SSD시리즈는 전력 효율성을 높이도록 설계되어 정지 모드에서의 전력 소비를 낮추며, BG1 SSD제품군과 함께, 트러스티드 컴퓨팅 그룹(Trusted Computing Group) 사양인 파이라이트(TCG Pyrite)를 지원하는 최초의 도시바 제품이다.

박형 노트북 및 태블릿PC: BG1 SSD제품군은 단일 16mm x 20mm패키지(M.2 형 1620) 또는 용량이 최대 256GB되는 착탈식 M.2형 2230 모듈로 된 세계 최소형의 NVMe SSD[4]이다. 노트북 PC, 투인원 전환 가능 노트북 PC 및 태블릿PC용으로 디자인된 BG1 SSD제품군은 PC OEM(주문자 상표부착 생산업체)들이 모바일PC용 SATA SSD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제공하는 얇은 모바일 PC와 태블릿PC를 생산할 수 있게 한다. BG1 SSD제품군은 TCG 파이라이트를 지원하며 정지 모드의 전력 소비를 낮춘다.

서버 및 저장 어플라이언스: PX04P SSD제품군은 전력 및 성능을 확대/축소할 필요가 있는 서버 및 저장 어플라이언스 용으로 디자인되었다. PX04P의 NVMe SSD시리즈는 업계의 최소 전력 소비[5] 제품이다. 이 시리즈는 18W의 전력으로 최대 성능을 내면서 전력/성능을 12W까지 내릴 수 있다. 또 PX04P SSD제품군은 PCIe 3.0의 최대 4개 레인을 지원하고 절반높이와 절반길이(HHHL)의 애드인(add-in) 카드나 SFF-8639 커넥터가 탑재된2.5인치 형태의 제품이다. 또한 PX04P SSD제품군에는 도시바의 QSBC 오류 보정 기술이 적용됐다.

도시바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SSD시장을 주도하기 위해 SSD라인업을 계속 강화할 예정이다.

신제품 개요(표의 내용은 pdf 참조. 다운로드: http://goo.gl/U3GzM8)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100자평 쓰기
  • 로그인

세미나/교육/전시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