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주·혁신도시, 완주, 정읍 일대 3개 지구로 구성 -
미래창조과학부는 전북 전주·완주·정읍 일부 지역을 농·생명 융합, 융·복합 소재부품 분야를 특화산업으로 한 전북연구개발특구로 신규 지정하였다.
13일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확정된 이번 연구개발특구 지정은 대덕(‘05년), 광주(’11년), 대구(‘11년), 부산(’12년)에 이어 5번째이며, 미래창조과학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지구구성은 2대 특화산업 분야(농·생명 융합, 융·복합 소재부품) 연구기관이 집적한 정읍, 완주 지역을 각각 거점지구로 하고, 전주 및 혁신도시 지역을 사업화 촉진지구로 기능하도록 계획되었다.
※ 연구개발특구는 연구소, 대학, 기업, 금융기관 등이 일정한 지역에 입지하여 상호 협력으로 지식의 창출과 확산이 이루어지는 구역으로 특히, 연구개발을 통한 신기술의 창출, 공공연구 성과의 확산과 사업화 및 창업을 촉진하기 위해 지정
[ 전북연구개발특구 경과 ]
전북연구개발특구는 전라북도가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신청한 후 계획에 대한 수정·보완을 거쳐 지정이 결정되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4년 관련 전문가 11명을 포함한 전담팀(TFT)를 구성하여 9개월 간 11회 차에 걸쳐 33개 요건과 효과성을 검토하고 조정한 결과, 타당성을 인정하여 올해 추진을 결정(3월)하였고, 이 후 구역 조정을 거쳐 관계 부처 간 협의가 완료(6월 말)되어,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심의(7.2), 연구개발특구위원회 심의(7.13)를거쳐 지정이 확정되었다.
[ 전북연구개발특구 지정 기대효과 ]
전북연구개발특구 내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 국립연구기관 10개와 대학 3개가 집적되어 있어 공공연구성과의 기술사업화를 통한 기존 기업의 제품개발, 애로해결 및 투자유치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며, 또한, 연구소기업 설립 등 신규창업이 활성화되고, 특화 산업의 전략적 육성으로 지역경제에 큰 활력을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전라북도는 기술사업화 지원으로 2021년까지 1만명 이상의 고용유발, 8,500억원 이상의 매출 증대를, 300여개의 신규 기업입주 등으로 5.5조원 이상의 경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하였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