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5년 산업창의융합포럼 콘퍼런스 개최 -
산업통상자원부(윤상직 장관)와 산업창의융합포럼(오영교 운영위원장)은 7. 9.(목) 서울 팔래스 호텔에서 2015년 산업창의융합포럼 콘퍼런스를 ‘창의적 융합을 통한 미래산업의 발굴’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이번 회의(이하 콘퍼런스)는 창의적 융합을 기반으로 한 미래 유망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관련 정보를 교류하고 민관의 역할과 시장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는 장이 됐다.
기조강연을 맡은 박종구 단장(나노융합2020사업단)은 비즈니스 모델의 사업화와 관련해 ‘기술개발과 기술사업화’라는 주제로 지식을 창출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부를 창출하는 기술사업화에 대해 양자간의 차이와 어려움을 설명했다.
특히 국내의 연구개발(R&D) 예산이 50조 원을 넘어가며, 세계6위의 연구개발비를 투자하고 있으나 낮은 사업화의 상황에서 기술사업화를 통한 부의 창출이 필요한 시점임을 강조하였다.
미래 유망 비즈니스 모델과 관련한 분과별 강연에서 첫 번째 분과강연을 맡은 홍성수 교수(서울대학교)는 ‘사물인터넷(IoT)기반 스마트 홈 및 빌딩을 위한 신산업 발굴’이라는 주제로 사물인터넷(IoT)기반 기술을 스마트 홈 및 빌딩에 적용하는 기술과 시장 전망을 제시했다.
사물인터넷(IoT)이 미래 정보기술(IT)의 총아로 떠오르면서, 이를 스마트 홈과 빌딩 환경에 적용하여 신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내외 기술동향을 살펴보며, 향후 시장 전망을 제시하였다.
특히, 스마트 홈과 빌딩에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로 이학종 교수(분당서울대병원)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헬스케어’를 주제로 지능형 장치(이하 스마트 디바이스)의 무한한 가능성을 설명하고, 첨단 건강관리사업(이하 헬스케어)와의 융합을 통한 스마트 디바이스 역할과 방향성을 제시했다.
최근 들어 스마트 디바이스가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스마트 신발 등 급속하게 발전하며, 생활과 밀접한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어, 미래의 헬스케어 인식체계(이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종태 교수(동국대학교)는 미래 제조업에서의 ‘딥러닝’ 활용의 중요성과 이를 활용한 미래형 제조공장의 핵심 기술을 소개하였다.
※ 딥러닝(Deep Learning) : 인공신경망(ANN, artificial neural networks)에 뿌리를 둔 기술로, 인공신경망은 인간 두뇌가 수많은 데이터 속에서 패턴을 발견한 뒤 사물을 구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을 모방해 컴퓨터가 객체를 분별하도록 기계를 학습시키는 인공지능 기술
미래 제조환경에선 제조 프로세스가 다양해지고 고정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공장안전과 유연한 생산이 가능해져 제조 산업에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딥러닝은 학습을 기반으로 인지, 추론, 판단을 하는데, 국내에서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선진국에 기술적 종속이 예상되므로 선재적 준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콘퍼런스는 국민생활과 밀접한 분야를 중심으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우리 사회와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유망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 사업성에 대해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였다.
오영교 산업창의융합포럼 위원장은 “국민생활과 밀접한 생산에서 소비까지 이루어지는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산업의 미래를 제시하는 자리다.”라고 강조하고 “향후 산업부 등과의 협업을 통해 미래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방안도 찾을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산업부는 이번 콘퍼런스를 변화하는 사회적 이슈를 확인하고 창의적 융합을 통해 발굴된 미래산업의 단면을 엿 볼 수 있는 기회였다 라고 평가했으며, 이러한 융합적 산업의 사회 확산 및 사업화에 더욱 노력하기로 했다.
앞으로 단기적 성과창출보다는 중장기적 측면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성장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해 추진하겠다고 말하였다.
한편, 앞으로 산업창의융합포럼에서는 지속적으로 사회‧산업적 이슈에 대해 산‧학‧연이 참여하여 함께 정보를 공유하고 논의하는 콘퍼런스를 지속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라고 하였다.
<저작권자(c)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