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KIER Conference 2023을 개최했다. ‘안전성 강화를 위한 DNA(Data, Network, AI)기반 신재생에너지 예지진단 관리기술 개발’ 연구과제가 대상을 수상했다.
온라인기사 2023-12-14
하이티움(Hithium)이 중국 충칭에 위치한 신규 기지 1단계의 첫 스테이지에서 계획된 생산 능력 28GWh를 연속적으로 가동할 예정이다.
온라인기사 2023-12-12
리튬 일차전지 및 이차전지 소재 전문 기업 비츠로셀은 2021년 6월부터 캐나다 스타트업 메이크센스의 지분 46.57%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전환사채 전량에 대한 전환권 행사 시 65.7%까지 지분율 확대가 가능하다.
온라인기사 2023-12-07
LG에너지솔루션과 KAIST 공동 연구팀이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메탈전지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리튬이온전지 대비 주행거리를 약 50% 늘리고, 충·방전 효율 및 수명 또한 대폭 개선할 수 있는 기술이다.
전기차 충전 서비스 플랫폼 플러그링크(대표 강인철)가 영국의 에너지 기술 그룹 옥토퍼스에너지(Octopus Energy)와 MOU를 체결하고 전기차 충전 서비스 역량 확대를 위한 글로벌 협력 관계를 마련한다고 밝혔다.
LS전선이 테네트의 독일 자회사인 테네트 오프쇼어(TenneT Offshore)社와 약 1조5000억원 규모의 초고압직류송전(HVDC) 케이블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LS전선이 5G급 PoE(Power over Ethernet) 케이블을 출시한다. 이 제품은 세계 최고의 통신속도를 지원하며, 다채널 카메라와 고화질 CCTV 등에 사용되던 고가의 광케이블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기사 2023-12-06
에이치투사이트(H2SITE)는 PEM 연료전지에 사용될 고순도 수소를 생산하기 위한 세계 최초의 암모니아 분해기를 성공적으로 검증했다고 밝혔다. 통합 멤브레인 반응기는 비스케이만 연안을 항해하는 BERTHA B 보급선에 설치되어 운영되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신재생 에너지만을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하는 시설 구축에 나선다. 그린수소는 오로지 신재생 에너지만을 활용해 생산되는 수소로, 그린수소 생산시설을 건설하는 것은 국내 최초이다.
온라인기사 2023-11-30
인도 최대 민간 발전업체인 아다니 파워가 획기적인 그린 암모니아 연소 시범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이는 다각적인 탈탄소화 이니셔티브의 일환으로 문드라 공장에서 실행됐다. 기존 석탄 화력 330MW 유닛의 보일러에서 최대 20%의 그린 암모니아를 동시 연소할 예정이다.
LS전선아시아가 신사업 진출에 맞춰 사명을 LS에코에너지로 변경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 전력 및 통신 케이블 중심의 사업을 해저케이블과 희토류 등으로 확대, 친환경 에너지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온라인기사 2023-11-28
두산에너빌리티가 필리핀에서 국내 산?학?연과 함께 개발한 한국형 가스터빈 기술력 홍보에 나섰다.
온라인기사 2023-11-27
지멘스에너지가 프랑스 산업용 가스 기업인 에어리퀴드와 협력해 독일 베를린에 기가와트급 수전해 공장을 설립하고 수소 기술 양산을 위한 공식 가동을 시작했다. 이를 통해 지멘스에너지는 수전해 기기 대량 생산 체제에 돌입하면서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
SK그룹이 넷제로 조기 달성을 위해 국내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직접구매계약을 체결한다. 최근 SK텔레콤, SK실트론, SK머티리얼즈 등 9개 계열사와 SK E&S가 재생에너지 직접 PPA를 위한 거래협정서를 체결했다.
온라인기사 2023-11-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저장연구단 장보윤 박사 연구진이 상온에서도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진 전고체 전지용 복합 고체전해질을 개발에 성공했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세계적 연구개발 기관 Imec의 방향에 대해
[말말말] 전력 반도체 산업에서 협력이 필요한 이유는
[말말말] 엠버로드의 제조 AI 솔루션을 사용하기 쉬운 이유
[기고] 산업 자동화를 위한 중앙네트워크 컨트롤러 기술
[기고] 2025 6G의 미래, 향후 2년 동안 실제 개발로 중심축 이동한다
[기고] 저항 분배기를 사용하지 않는 혁신적인 레귤레이션 루프 설계하기
[연재 기고] 반도체 패키지의 열기계적 파손 유형과 메커니즘 파악 연구 사례 …
[스타트업]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 “제조공정 생산성 향상 AI 솔루션, 고객 …
[스타트업] 그레이박스 이민용 대표 “국내 맞춤형 CRM, 누구나 쉽게 사용하…
[파워 컴퍼니] 호전에이블 문종태 대표 “반도체 패키지 접합 소재 기술을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