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할 태그를 콤마( , )로 구분하여 입력해 주세요
국내 MDR(관리형 탐지 및 대응) 서비스 기업인 파고네트웍스(대표 권영목)가 ‘실행 가능한 인텔리전스(Intelligent Action)’를 중심으로 한 사이버 위협 대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 회사는 ‘파고 시큐리티 서밋(Pago Security Summit) 2025’에서 차세대 AI기반 통합 보안 플랫폼 '딥액트(DeepACT)'를 공식
온라인기사 2025-04-23
ams OSRAM(한국 대표 강석원)은 향상된 신호 품질을 구현하는 강력한 500?m 칩을 탑재한 새로운 소형 칩 LED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ams OSRAM의 새로운 칩 LED 제품은 모래알보다 약간 큰 1.2 mm x 1.0 mm x 0.6 mm의 초소형 크기에서 14mW의 뛰어난 광출력 성능을 제공한다.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인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에서 최고상과 최고혁신상을 포함해 총 35개 상을 수상했다.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는 ‘iF 디자인 어워드(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IDEA(International Design Excellence Award)’와 함께 세계 3대
LG이노텍(대표 문혁수)이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2025년 1분기 매출 4조9,828억원, 영업이익은 1,25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5%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8.9% 감소했다.
ABB는 2026년 정기 주주총회에서 로봇 사업부의 100% 분사를 위한 제안 절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ABB 로봇 사업부는 2026년 2분기에 독립된 상장 회사로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온라인기사 2025-04-22
슈나이더 일렉트릭(한국지사 대표 권지웅)이 자사의 ‘지속가능성 컨설팅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국내 기업들의 ESG 경영 목표 달성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후 위기와 자원 고갈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심화되면서, 지속가능성은 이제 기업 경영의 핵심 과제로 자리잡았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가 영구적으로 확장 가능한 차세대 메모리인 xMemory를 탑재한 스텔라(Stellar) 자동차용 마이크로컨트롤러(MCU)를 출시했다. 이는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개발과 전동화용 플랫폼 발전의 복잡한 프로세스를 혁신하도록 지원한다.
코그넥스(COGNEX)가 22일,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에 참가하여 머신 비전 로봇 애플리케이션을 선보였다. 머신 비전은 물류 작업 자동화에 필수적이며 이는 가이드, 식별, 측정, 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물류 로봇 분야에도 마찬가지이다.
어드밴텍(Advantech) 한국법인은 22일, 국제물류산업대전(KOREA MAT)에 참가하여 ARK-3534D 팬리스 박스 PC를 선보였다. ARK-3534D 팬리스 박스 PC는 AI와 로봇의 협업을 통해 분석 및 품질 분류 작업을 가속화하는 특징이 있다.
국내 연구진이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핵심 부품인 전극과 전해질을 새롭게 설계해 더 긴 시간, 빠르게 작동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기술은 경희대학교 웨어러블융합전자연구소 유재수 교수 연구팀(제1저자 전자정보융합공학과 Shaocong Tang 박사과정생)이 중국 양저우대학교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국내 IT 인프라 공급업체인 대원씨티에스(공동대표 하성원, 이상호, 김보경)는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AI 기업 SS&C 블루프리즘이 매년 전 세계 고객을 대상으로 개최하는 ‘SS&C 블루프리즘 Customer Excellence Awards(CEA) 2025’에서 최종 본선에 진출했다고 밝혔다.
오라클과 구글 클라우드가 업계 최초 파트너 프로그램 및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앳구글 클라우드(Oracle Database@Google Cloud) 상의 오라클 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서비스(Oracle Base Database Service) 제공 계획과 확장된 기능을 발표했다.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된 반도체에 고율의 관세가 부과될 경우, 의료기기의 가격 상승은 막을 수 없다. 이는 접근성을 저해하고 시장 성장을 둔화시킬 수 있다고 글로벌데이터는 경고했다.
LG전자가 세계 최대 완성차 업체인 도요타로부터 북미 시장의 전장부품 공급 역량을 인정받으며, 고객들의 미래차 핵심 파트너로서 위상을 공고히 했다. LG전자는 최근 미국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열린 도요타 북미법인(Toyota Motor North America, TMNA)의 ‘연례 공급사 비즈니스 미팅(Annual Supplier Business Meet
다쏘시스템은 유네스코(UNESCO) 및 세계엔지니어링기구연맹(WFEO)과 파트너십을 맺고, 버추얼 트윈이 책임 있는 혁신적 비즈니스 관행을 촉진하고 유엔(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달성에 기여하는 가치를 조명한다.
지난 뉴스레터 목록보기
[말말말] 반도체 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핵심 동력은
[말말말] 인피니언의 전력반도체 전략은
[말말말] 국내 반도체 및 FPD 분야 클린룸 원스톱 토털 서비스 계획은
[기고] 로드 덤프 이벤트로부터 차량용 프로토타입을 보호하는 과전압 보호 회로…
[연재 기고] 강유전체 메모리,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 구현하다
[기고] O-RAN 라디오 검증하기: 실리콘부터 스마트 네트워크까지
[기고] 차량용 초음파 센서의 발전: ADAS부터 자율주행, 그리고 그 너머까…
[파워 컴퍼니] 에이치엘이엔지 김용주 대표 “클린룸 설계에서 시공까지…전력반도…
[파워 컴퍼니] 이노메스 송호진 대표 “AI와 빅데이터 활용한 IoT 기술로 …
[파워 컴퍼니] 신훈규 네이처플라워세미컨덕터 대표 “특허 기술 활용한 사업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