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복잡한 이미지 생성 워크플로우를 단순화하고 더 빠른 편집 환경 제공해

2025-07-03
신윤오 기자, yoshin@elec4.co.kr

블랙 포레스트 랩스와 협력해 모델 최적화…RTX AI로 플럭스.1 콘텍스트 이미지 모델 가속화

엔비디아가 블랙 포레스트 랩스(Black Forest Labs)와 협력해 플럭스.1 콘텍스트(FLUX.1 Kontext) 이미지 모델을 엔비디아(NVIDIA) RTX GPU에 최적화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복잡한 이미지 생성 워크플로우를 단순화하고, 더 빠르고 유연한 편집 환경을 제공한다.

세계 최고의 AI 연구소 중 하나인 블랙 포레스트 랩스가 이미지 생성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블랙 포레스트 랩스의 플럭스.1 이미지 모델은 탁월한 프롬프트 준수로 고품질의 비주얼을 구현해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들은 이제 새로운 플럭스.1 콘텍스트 모델로 사용자가 이미지 생성 프로세스를 안내하고 개선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오늘날 AI 전문가들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이미지 생성기의 출력을 안내하는 AI 모델인 컨트롤넷(ControlNets)과 여러 모델을 조합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컨트롤넷을 결합하거나, 3D 가이드 이미지 생성용 엔비디아 AI 블루프린트(AI Blueprint)에서 사용된 것과 같은 고급 기술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이 기법에서는 이미지의 구도를 결정하기 위해 3D 장면 초안을 활용한다.


  (왼쪽부터) ▲입력 이미지.  ▲1차 편집 프폼프트: '바우하우스(Bauhaus) 스타일로 변환. ▲2차 편집  프롬프트: '색상을 파스텔 색조로 변경                                                                
                                                                                                             
꽃이 놓인 테이블 위에 커피와 과자가 놓인 동일한 그래픽을 나란히 배치한 세 개의 이미지. 플럭스 1 콘텍스트(dev) 모델을 사용한 멀티턴(multi-tum) 편집의 예를 보여준다. 원본 이미지(왼쪽). 1차 편집에서 바우하우스 스타일의 이미지로 변환(가운데), 2차 편집에서 이미지의 색상 스타일을 파스텔 색조로 변경(오른쪽)


새로운 플럭스.1 콘텍스트 모델은 자연어로 이미지 생성과 편집을 모두 수행하는 단일 모델을 제공해 이 작업을 간소화한다.

엔비디아는 블랙 포레스트 랩스와 협력해 플럭스.1 콘텍스트[dev]를 엔비디아 RTX GPU에 최적화했다. 이를 위해 엔비디아 텐서RT(TensorRT)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와 양자화를 사용했으며, 더 낮은 VRAM 요구 사항으로 더 빠른 추론 속도를 구현했다.

이제 크리에이터와 개발자는 텐서RT 최적화를 통해 RTX 기반 기기에서 더 빠른 편집, 매끄러운 반복 작업, 향상된 제어력을 경험할 수 있다.
지난 5월 블랙 포레스트 랩스는 텍스트와 이미지 프롬프트를 모두 지원하는 플럭스.1 콘텍스트 이미지 모델 제품군을 출시했다.

이 모델을 통해 사용자는 여러 컨트롤넷을 통한 미세 조정이나 복잡한 워크플로우 없이도 참조 이미지에서 작업을 시작하고 간단한 언어로 편집을 안내할 수 있다.

플럭스.1 콘텍스트는 이미지 편집을 위해 제작된 오픈 웨이트(open-weight) 생성 모델이다. 이는 단계별 가이드 생성 프로세스를 사용해 작은 디테일을 다듬거나 전체 장면을 변형하는 등 이미지의 진화 방식을 쉽게 제어한다. 이 모델은 텍스트와 이미지 입력을 모두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적 콘셉트를 쉽게 참조해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진화하는 방식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콘셉트에 충실한 일관된 고품질 이미지 편집이 가능하다.

플럭스.1 콘텍스트 가중치와 텐서RT 가속 변형 출시

블랙 포레스트 랩스는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서 다운로드 가능한 플럭스.1 콘텍스트 가중치와 텐서RT 가속 변형을 출시했다.
기존에는 고급 이미지 편집을 하려면 복잡한 지침과 생성하기 어려운 마스크(mask), 뎁스(depth) 맵 또는 엣지(edge) 맵이 필요했다. 그러나 플럭스.1 콘텍스트 [dev]는 보다 직관적이고 유연한 인터페이스를 도입해 단계별 편집과 확산 모델 추론을 위한 최첨단 최적화를 결합한다.

[dev] 모델은 유연성과 제어를 강조한다. 이는 캐릭터 일관성, 스타일 보존, 일부 이미지 조정과 같은 기능을 지원하며, 구조화된 시각적 프롬프팅을 위한 통합 컨트롤넷 기능을 제공한다.

플럭스.1 콘텍스트 [dev]는 이미 컴피UI(ComfyUI)와 블랙 포레스트 랩스 플레이그라운드(Playground)에서 사용할 수 있다. 8월에는 엔비디아 NIM 마이크로서비스 버전이 출시될 예정이다.


 

<저작권자©스마트앤컴퍼니. 무단전재-재배포금지>


100자평 쓰기

관련 기사

엔비디아(NVIDIA) 관련 기사
오피니언
스타트업이 뜬다
기술 리포트가 뜬다